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 이 교수의
결정
적인 실험이었다.우리가 세계 정상결국 이한웅 교수의 성공에서
결정
적인 요인은 특정 유전자를 없앤 쥐를 생산해낼 수 있었다는 점이다. 특정한 유전자가 없는 동물을 관찰하는 일은 그 유전자의 기능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방법인 것이다. 때문에 다른 유전자는 모두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작용하던 신약이 곧 재앙으로 바뀐 경우가 많이 있다. 세균과의 전쟁에서 인류에게
결정
적인 무기로 작용했던 항생제 페니실린이 한 예다. 당시에는 지구의 모든 감염증이 사라질 것이라고 기대됐지만, 무절제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내성이 증가하는 바람에 어떤 항생제로도 듣지 않는 강력한 ... ...
개미가 지자기를 감지하는 방법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자신의 몸을 하나의 나침반으로 이용해 자기장을 감지한다는 의미다. 자성을 가진 광물
결정
들은 세균에서 철새에 이르기까지 많은 생물에서 관찰되고 있다. 문제는 어떻게 자성을 가진 입자들이 체내에서 작용하느냐 하는 것이다. 자기장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는 구름도 대부분 물방울로 이뤄져 있다. 이에 반해 겨울철 구름의 상층부는 얼음
결정
이 많다. 또 겨울철에는 상층의 기류가 빠르기 때문에 구름이 깊게 만들어진다기 보다 넓게 퍼지는 형태의 얇은 구름이 많다.그러면 습도를 느끼기 어려운 사막은 어떨까. 물론 사막에도 구름은 있다. 대개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규모는 진도에 비해서 객관적인 관측장비를 통해서 얻어진 자료를 가지고 지진의 크기를
결정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관측장비의 종류나 지역에 따른 지진파의 감쇠 정도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규모를 산출해내기가 쉽지 않다. 말하자면 한 지진에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산소결합 자리 한 쪽에 있는 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이 어느 쪽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결정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만약 그 아미노산이 사람의 헤모글로빈과 같은 쪽에 있으면 산화질소가 산소운반의 조절자 역할을 하지만, 회충의 헤모글로빈에서처럼 그 반대쪽에 있으면 헤모글로빈은 산화질소를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세포막에 존재할지, 세포 밖으로 분비될지, 또는 세포의 어느 소기관으로 옮겨질지가
결정
되는 것이었다. 이런 연구에 힙입어 최근에는 상당히 많은 단백질의 신호 펩티드가 어떤 구조로 이뤄졌는지 속속 밝혀지고 있다.신호 펩티드는 단백질들이 올바른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지표라는 의미에서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사력을 다해 매달릴 분야이다. 우리나라 통신기술이 세계 수준으로 완전히 진입하는데
결정
적인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지난 9월 19일에 끝난 위성통신과 방송 우주산업 전시회 및 세미나에서는 각국의 기술수준과 연구방향들을 알 수 있는 귀중한 기회였다. 최교수팀은 이 전시회에서 새로운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얼굴은 왜 변할까. 가장 중요한 원인을 유전자에서 찾을 수 있다. 한 집단에서 외모를
결정
짓는 유전자들은 끊임없는 경쟁을 통해 한가지 방향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코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섞여 있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집단의 구성원들은 어느 한쪽의 코를 가지는 형태로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빙점 아래로 떨어질 때 공기중의 수증기가 지면에나 주변 물체에 붙어 응결된 얼음
결정
이다. 가을이 되면서 밤 기온이 떨어져 영하로 내려가면 처음에는 물방울이 맺혀 이슬이 된다. 하지만 점차 온도가 더 내려가면 이슬이 얼어서 서리가 된다. 가을 절기인 백로(9월 8일 경), 한로(10월 8일 경), 상강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