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쓰는 것이 좋다. 우뇌의 지배를 받는 직관력과 창의력을 이끌어 내려면 그 말단부위부터
길
들여 놓아야 하기 때문이다.요컨대 왼손잡이는 결코 열등한 존재가 아니다. 따지고 보면 갖가지 편견도 다 근거가 희박한 것들이다. 물론 몇가지 장애와 질병에 대해서는 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잘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연되는 현상은 사슴과 안에서 유독 노루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따라서 임신기간도
길
수밖에 없다. 사슴과(科) 동물중 최장인 2백80일의 임신기간을 갖고 있는 것이다.새끼는 단오를 전후해 태어난다. 출산 며칠 전에 암노루는 먼저 산실, 즉 숲의 덤불을 정비한다. 지난 해에 태어나 줄곧 그곳에서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직으로 솟은 마천루의 숲은 사람들에게 첨단기계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화려한 도시경관을 보여주지만, 그에 따르는 교통 환경 주거 등의 문제도 만만치 ... 이외의 스케일(extra humans scale)의 쌍벽인 자동차와 마천루를 '사람의 환경'으로 어떻게
길
들일 수 있을지가 우리의 큰 과제다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형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노출시간이, 일주운동을 가이드(guide)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길
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장비의 측면에서 좀 더 높은 성능이 필요하다. 촬영에 관해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겠지만 반달의 경우 보름달 광량의 2분의 1이 아니고 4분의 1이며 초승달은 10분의 1정도가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는 한반도의 신생대 제4기 화산활동을 대표하는 섬으로 다섯번에 걸친 분화를 통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었다.매년 여름 겨울방학마다 (중)고교 과학교사 ... 벌이던 탐사단은 이날도 도동항에 새벽이 밝아오도록 울릉도와 지구과학, 과학교사의
길
에 대해 끝없는 토론을 벌였다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불가능한 것을 알고 시간 간격에 구애되지 않고 셔터를 누르고 다시 태양이 나타나
길
기다렸다.식이 약 80% 진행된 초승달 모양의 태양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부터는 부분일식에서 볼 수 없었던 다른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제 태양은 아주 월령이 작은 초생달과 같아졌다.렌즈 앞의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모든 점은 동등하기 때문에 어느 점을 특별히 골라잡을 수 없고 따라서 그 위치를 측정할
길
이 없다. 다시말해 완전한 대칭성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물리량은 측정될 수 없고 우리는 그 존재를 느낄 수 없다는 얘기다. 이러한 논리가 설득력을 가지려면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이 서로 동등하다는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일로에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땅의 넓이는 제한되어 있다. 앞으로 세계인이 살 수 있는
길
은 더 높이, 또는 더 깊게 건물을 건설하는 것이다. 그 옛날 바벨탑 건설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중단되었으나 그 의지와 욕구는 면면히 이어 내려와 바벨탑 시대의 인간들이 하늘이라고 믿었을 구름 위에 까지 ... ...
6. 근거리 통신망(LAN)의 비약적 발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반영하여 디베이스라는 프로그램이 나타나서 개인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길
을 터주었다. 디베이스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혼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게 되었다. 정보를 수집축적해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속에 식수(食水)를 넣어두고 음료수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들은 매일 열사(熱砂)의
길
을 오가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집트의 파라오도 기후변화에는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나일계곡에서 조금만 밖으로 나가면 아무도 살 수 없는 사막이 펼쳐져 있을 뿐이었다. 지하수면까지 도달하기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