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리처럼 외국유학을 당연시하지도 않는다. 이제는 우리도 창의적 아이디어를 실험에 옮
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표출되기 시작한다. 우리 두뇌를 외국에 봉사시키지 말자는 야무진 각성이 학생들의 입에서 공공연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이들과 어울려 생명을 논하는 것은 참으로 신난다. 수많은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무리한 일을 감행한 것이다. 그는 앞을 날고 있는 UFO에만 정신을 집중했다. 때문에 커브
길
에 접어든 것을 의식하지 못했다. 비스듬히 차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같더니 밑으로 푹꺼진 시커먼 웅덩이에 빠져버렸다.그의 몸뚱이는 유리창 밖으로 내동댕이 쳐졌다. 이때가 오전 1시56분. 그러니까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람이었을까. 그의 생애를 알고 싶다. 그리하여 그 위대함을 기리고 그가 걸어간 고난의
길
을 우리의 교훈이 되게 하고 싶다. 우리에겐 어렵게 살다 간 과학자나 기술자가 너무도 많다. 공적(公的) 기록에는 오르지도 못한 사람들. 김정호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다. 30년 걸린 지도"친우 김정호는 ... ...
과학자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오늘날 과학자는 더 이상 특별한 사람이 아니다.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은 전체 취업인구의 10% 이상을 점한다. 그만 ... 않는다. 과학자를 향한 수련과정에서 누구나 맞닥뜨릴 수 있는 고민 몇 가지와 과학자의
길
을 먼저 걸어간 선배들의 경험담을 모아 특집으로 꾸몄다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
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않게 중요한 것은 끈기, 즉 집념이다.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집념이 훌륭한 발명의 지름
길
인 것이다.독일의 과학자인 에르리히가 발명한 '살바르산 606'은 6백5회를 실패한 끝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매독치료제다. 에르리히는 이 발명으로 1908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했다.고정관념은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용된 전선의
길
이는 1백30㎞였다. 그보다 앞서 만들어진 마크Ⅰ(MARKⅠ)에 소용된 전선의
길
이가 9백㎞였으니까 에니악에 이르러서는 많이 줄어들었다. 에니악은 50평규모의 연구실에 설치되었는데 진공관이 내뿜는 열과 벌건 색깔의 진공관 빛, 둔한 소리 등이 어우러져 마치 괴기영화의 한 장면과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는 마냥 숨어서 기다리는데, 그들은 꿀물을 뿌려놓는다든가, 육식먹이를 지나다니는
길
에 던져 놓는 것은 물론 첨단센서를 장착한 자동카메라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수준에 접근하려면 먼저 촬영대상에 대한 사전지식을 철저히 습득해야 하고 장비도 고급화해야 겠지요."현재 김정명씨는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계산방식이 뭔가 달라현재의 컴퓨터가 한계를 보임에 따라서 그것을 돌파할 새로운
길
을 모색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하나는 새로운 소자의 개발이다. 현재의 반도체 기술이 아니라 광(光)소자나 생체 고분자의 원리에 착안한 생물소자(bio chip) 등을 개발하는 노력이다. 또 하나는 두뇌의 구조를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에 중성미자 진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 바 있다. "양쪽이 모두 높은 담인 좁은 골목
길
에 한 마리의 개가 걸어오고 있다. 나는 그 개를 한참 유심히 주시하고 있었는데 그 모양이 희미하게 일그러지더니 가까워지면서 그 형체가 다시 뚜렷해졌다. 그런데 그 개는 고양이로 변해 걸어오고 있었다.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쉽게 발각되기도 한다.(6) ③ 여우도 개과에 속하는데 너구리에 비해 몸체는 크고 얼굴이
길
쭉한 편이다. 여우는 매우 간교, 다른 동물을 곧잘 속인다. 너구리처럼 굴 파는 기술은 신통치 않다. 오소리가 집을 비운 사이에 굴 속에 들어가서 배설물을 사방에 묻혀 집을 더럽게 한다. 오소리는 깨끗한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