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크레이터 사이의 평원을 가로질러 놓여있다.수성의 절벽들은
길
이가 5백m~20㎞로
길
고, 깊이가 수백 m에서 1㎞에 이른다. 하나의 절벽이 여러 종류의 지형을 통과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수성의 반경이 그동안 수㎞ 줄어들어서 생긴 현상이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이는 마치 사과가 말라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는 더없이 즐겁고 다채로운 관측대상이다. 어두운 퇴근
길
하교
길
에 두툼한 외투에 손을 찔러넣고 걷다가 문득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았을 때의 반짝이는 신비로움은 저녁식탁에 앉은 이들을 들뜨고 서두르게 만든다.자! 웅크리고 앉아있던 아랫목에서 일어나 두꺼운 옷으로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벌써 어언 10년이 다 되어간다.문학과 철학과 예술의
길
에 끝이 없듯이 화학의
길
에도 끝이 없다는 생각을 여러 번 가진다. 오묘한 자연의 한 부분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기쁨과 희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것도 인류가 탄생한 이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기회가 다른 사람 아닌 나에게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디오며 사진이며 슬라이드며 작품을 만든다는 것이 서툰 수준이긴 하지만 우리들 손
길
하나하나의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우리나라의 매체역할이 질적으로 발전한다는 자부심만큼은 크다. 그러기에 부족한 실습 기자재로도 무언가 이루어보겠다는 열기를 잃지 않고 있는 것이다.'무한한 가능성을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혀 차원을 달리하는 개념인 것이다. 생물체를 목적에 따라 양산(量産)할 수 있는
길
이 열려 있다는 사실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치명적인 반항일 수도 있다.시험관내 수정을 통해 인류최초의 체외수정아 루이스 브라운(Louise Joy Brown)양이 1978년 영국에서 탄생된 이후,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한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신기술 개발강조로 제철 만난 첨단학과들. 그러나 지망생들은 장미빛 미래보다는 모험과 끊임없는 재교육을 각오해야 한다.대학입시의 열풍이 몰아치는 12월. 이미 올해의 수험 ... 학문의 연마를 철저히 해 급속히 변화하는 기술전쟁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길
러야 할 것이다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때의 놀라움이 그 앞에서 크게 증폭된 것이다.그것은 16세기 경의 사본이라고 한다.
길
이 1백71㎝, 너비 1백64㎝의 크기다. 명주종이에 채색해 그린 그 지도는 정말 아름다운 한폭의 그림이었다. 크기도 상상외로 컸다. 필체도 훌륭했다. 그러니 그 원본은 정말 멋있는 세계지도였을 것이다. 1402년에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공식품이나 바이오 화장품 등 2차상품도 다수 출현, 우리 주변에 유전공학적 기술의 손
길
이 가지않은 제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면작전으로 접근해야유전공학의 국제적인 연구추세로 보면 미생물유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이제는 동식물의 유전자 및 그 이용연구로 확대돼 가고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정태화 박사팀)해냈다. 이 진단시약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아 수출의
길
이 열려 있다.고영희박사팀이 개발한 폐수처리용 다기능성 미생물도 자랑거리. 이 미생물은 유전자 조작기법에 의해 탄생했는데, 특히 장뇌 나프탈렌 톨루엔 알칸화합물이 많이 포함된 폐수처리에 적합하다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주면 잠복기가 짧아지고, 면역을 억제시켜 주면 그 잠복기가
길
어진다는 사실이다. 결국 실험동물을 사용해 연구해야 하는데, 주실험동물인 생쥐에게 주사해 발병하도록 하는 데만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대개 1년이 지나면 생쥐는 유사한 증세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