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8천원을 내야 한다. 청약금 10만원은 일반전화를 신청할 때 내는 25만원(지역에 따라
조금
씩 다름)과 달리 ISDN을 해지한다고 해도 환불받을 수 없다. ISDN 장비를 구입하기 전에 먼저 한국 통신에 회선신청을 하는 것이 좋다. 지역에 따라 서비스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삼성SDS의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연결한 다음 꼬마전구는 상자 안에 넣고 전선은 밖으로 빼낸다.③구멍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셀로판지를 잘라 2개의 상자에는 1장씩 붙이고 나머지 두 상자에는 각각 2장, 4장씩 겹쳐 붙인다.④셀로판지 1장을 붙인 상자를 4m 거리에 둔다.⑤나머지 세 상자는 2m 거리에 나란히 둔다.⑥그림과 같이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함으로써 모든 것을 양자론적으로 기술할 수 있을 듯이 보인다. 그러나 양자장론을
조금
이라도 연구해 보았던 1930년대의 물리학자들은 곧 이 이론이 심각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상호작용을 도입하게 되면 파동방정식은 소위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이라는 형식을 띠게 되는데,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붉은색을 띤다.⑨에너지 잡는 뚜껑라면을 끓이려고 물을 부은 냄비를 불에 올려 놓았다.
조금
이라도 빨리 끓이려면 어떻게 해 야 할까. 방법은 바로 냄비의 뚜껑을 덮어놓는 것. 가열이 계속되면 용기 속에 들어있는 수 면 위쪽의 수증기 분자는 점점 늘어난다. 수증기 분자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한다. 물론 체온을 더욱 낮춰 11℃ 정도의 초저체온상태로 유지하 면 순환정지상태를
조금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지만, 안전한 시간은 그리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아무리 저온이라 하더라도 세포가 산소와 영양물질을 공급받지 못한채 견딜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 문이다. 또한 신장은 저온상태로 2-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지는 태양의 영향 아래 있다. 지구에서의 하루는 약 24시간. 9억년 전에는 18시간이었는데,
조금
씩 자전주기가 늘어난 결과다. 지구의 자전주기는 달의 영향으로 1백만년마다 약 24초 정도 길어진다고 한다. 그런데 지구를 벗어난다면 하루는 어떻게 변할까.우주왕복선은 초속 7.9km의 속도로 지구를 ... ...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끌렸다. 게다가 그녀는 아인슈타인처럼 음악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비록 다리를
조금
절었지만 아인슈타인에게는 한없이 사랑스런 여인이었다.연애가 한창 진행될 때 이들에게 커다란 시련이 닥쳤다. 밀레바는 최종 시험을 두달 앞둔 상황에서 자신이 임신한 사실을 알았다. 한번 시험에 떨어진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유성을 볼 수 있다. 20여분만에 하나씩 떨어지는 셈이니 하나를 놓쳤다면 다음 유성까지
조금
기다리면 된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 지구적으로 하루 동안 떨어지는 유성의 수는 약 25만개에 이른다고 한다.유성의 근원이 되는 유성체들은 대부분은 1g보다 작은 질량으로 콩알보다 작은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관찰할 수 있다. 국자 모양의 손잡이 끝에서 두 번째 별인 미자르(Mizar)를 잘 보면 그 옆에
조금
더 약한 빛을 내는 ‘알코르’(Alcor)를 찾을 수 있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이 두 별을 ‘어머니와 젖먹이’라고도 불렀다. 눈이 좋은 사람만이 두 별을 구분해 볼 수 있어서 옛날 아라비아에서는 군인들의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루어진 것으로, 업적이 인정되는데 무려 55년이 걸린 셈이다. 그는 1988년에 사망했으니
조금
만 더 늦었으면 아예 못받을 뻔했다. 또 1983년 생리의학상을 받은 바바라 맥클린톡도 유동하는 유전자를 발견한 업적이 인정되는데 무려 49년을 기다려야 했으니 루스카를 생각하면 오히려 다행일까. 수상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