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수 있다. 외로움을 아는 사람이 오히려 사교적이고 사회관계를 더 잘 맺을 수도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연구팀은 올해 2월 외로움을 잘 느끼는 사람은 외로움을 덜 느끼는 사람보다 사회적 관계에 훨씬 민감해 오히려 사교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생명과학 학술지인 ... ...
[수학뉴스] 성적 올리려면 연필 말고 게임기를 들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나왔기 때문입니다. 게임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는 희소식이겠네요.블루스 웩슬리
미국
예일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개발팀이 만든 ‘액티베이트’가 학교 시험 성적에 좋은 영향을 줬다고 밝혔습니다. 액티베이트는 뇌를 훈련시키는 비디오 게임으로, 운동과 소셜 게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이탈리아 화가 프렌체스쿠초의 을 복원했습니다. 도브시 교수는 복원 과정을
미국
온라인 과학 매체 ‘콴타 매거진’ 9월 29일자에 실었습니다.은 위 그림처럼 아홉 개의 화판으로 이뤄진 그림입니다. 19세기에 여덟 개는 제각기 수집가에게 팔리고 나머지 하나는 사라지고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500만 대를 감염시켜 탄생한 봇넷은 24시간 내에 스팸메일 4000억 통을 보낼 수 있다”고
미국
IT 전문 잡지 ‘컴퓨터월드’를 통해 밝혔다.방어 : 확률적으로 스팸 걸러내기스팸메일을 보내는 사람은 스팸이 아닌 것 같은 메일, 악성 코드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메일을 보내려 합니다. 반대로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있었어요.사고가 나면 에어백이 터져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안전모도 있어요. 지난 10월
미국
스탠퍼드대 생체공학과 연구팀은 에어백 안전모가 기존 안전모보다 머리 보호 기능이 3배나 좋다고 발표했어요. 이 에어백 안전모는 스웨덴의 디자인회사 회브딩이 2013년 개발한 것으로, 사고가 나면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동호회를 찾아가서 저글링과 수학이 어떻게 관련돼 있는지 설명하기도 했어요.“2010년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근무할 때 저글링과 수학이 아주 밀접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사실 지금도 저글링과 관련된 수학 논문이 간간이 나와요. 최근 논문 내용은 저글링을 잘하는 것과 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 ...
[과학뉴스]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미국
연구팀이 바이러스를 이용해 몸에 해로운 음식을 빠르게 골라내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사이언티픽리포트’ 10월 12일자에 밝혔다.
미국
퍼듀대 식품과학과 브루스 애플게이트 교수팀은 특정 미생물과 만나면 색이 변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음식에 대장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 ...
[과학뉴스] 공룡은 새처럼 울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않았는데, 최근 공룡이 적어도 새처럼 노래하지는 못했을 거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텍사스주립대 지질학과 줄리아 클라크 연구팀은 2013년 남극 베가 섬에서 발굴된 ‘베가비스 이아아이’라는 백악기 조류 화석에서 울대를 발견했다. 울대는 조류만 갖고 있는 독특한 발성 기관이다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밖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가 태양을 닮았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천체물리학센터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을 관찰한 결과, 태양의 흑점처럼 어두운 부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10월 11일자에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길 정도로 궁금증은 커져만 갔답니다.그러던 중 2014년에 드디어 비밀이 밝혀졌어요.
미국
스크립스 해양과학연구소 제임스 노리스 박사팀이 실제 데스밸리의 환경과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 1 ... ...
이전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