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온난화 막으려다 죽음의 바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쇳가루를 뿌려 ‘철분 비옥화’를 하면 플랑크톤의 번식이 수십 배 왕성해진다고
보고
있다.연구진은 철분을 과도하게 바다에 뿌리면 일반 플랑크톤과 함께 신경독소인 도모이산을 내뿜는 수도니츠키아(Pseudonitzschia ) 플랑크톤이 함께 급증하는 현상을 처음 밝혀냈다.이 플랑크톤을 먹은 게나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오히려 비효율적인 걷기가 필요한 세상이다. 걷기를 하면서 다이어트 효과를 최대로
보고
싶다면 발끝으로 걸어야 하는 것이다. 보기에 우스꽝스럽고 걷기에 불편하겠지만 보통 걸음보다 2배 정도나 에너지를 더 소비할 수 있으니 말이다.아프리카 여인은 효율적인 역진자 운동한다불과 30~40년 전만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RNA에 문제가 생긴 돌연변이 초파리를 현미경으로 직접
보고
알아맞히는 퀴즈 같은 이벤트도 열 계획입니다.요즘은 연구 분야가 너무 세분돼 있고 낯선 전문용어가 많아 자기 분야가 아니면 과학자나 일반인이나 이해하지 못하는 데는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현 :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합성을 촉매하는 두 리보자임(E와 E´)을 만들었다고 지난해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보고
했다. 상대 분자를 만들면 결국 자기도 더 많이 만들어지므로 간접적 자기복제인 셈이다. 아쉽게도 뉴클레오티드 하나에서 출발해 리보자임을 만든 건 아니고 주어진 RNA 분자(A, B, A´, B´)를 붙여 리보자임 ... ...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공수월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또한 독서를 통해 여러 분야의 과학 발전상을 접해
보고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문과와 달리 이과계열의 경우 기본적인 지식이 없이 책을 읽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기초지식을 습득한 토대 위에 관련 분야의 독서활동을 펼치는 것이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황금벌레’에서 루그랑은 양피지에 나타난 양 그림을
보고
카리브해에 출몰했던 전설적인 해적 키드(kid) 선장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해골 그림과 양 그림 사이에 띄어쓰기 없이 빼곡하게 들어찬 숫자와 각종 부호가 나타나는 빈도를 표로 작성한 뒤 알파벳에서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함께 퀴즈 퀴즈!‘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서 섭섭박사의 동영상을
보고
퀴즈에 대한 답을 덧글로 달아 주세요. 모두 10명을 뽑아 딱과 3종 세트를 드립니다.❸ 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 참여 신청은?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에 참여하고 싶은 친구는 엽서에 정성을 가득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악기 연주에 마술까지! 재능 있는 친구들은 여기에 다 모여 있나 봐요. 이젠 가만히
보고
만 있을 순 없었어요. 체면이고 뭐고 나도 멋진 명예기자들을 직접 만나야겠어요! 종이비행기가 훨훨~, 명예기자도 훨훨~!그런데 이게 웬일이죠? 내가 온 줄 어떻게 알았는지 명예기자들이 날 부르는 거예요.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해하던 자연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실험을 해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보고
느끼던 것을 수학이라는 객관적인 도구로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통계를 이용해 수많은 실험 결과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따져 보는 일도 가능해졌다.✚빛도 수학이다 17세기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의 연구는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의 몸을 기계와 같이
보고
원리를 파악하려고 한 노력은 생리학이 발달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한편, 광학에서는 동물의 눈을 해부해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 속에서 상을 맺는 원리를 연구했다. 빛의 굴절을 이용해 무지개의 원리를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