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악기 연주에 마술까지! 재능 있는 친구들은 여기에 다 모여 있나 봐요. 이젠 가만히
보고
만 있을 순 없었어요. 체면이고 뭐고 나도 멋진 명예기자들을 직접 만나야겠어요! 종이비행기가 훨훨~, 명예기자도 훨훨~!그런데 이게 웬일이죠? 내가 온 줄 어떻게 알았는지 명예기자들이 날 부르는 거예요.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매우 건조한 사막이 형성되고 바다에는 거대한 태풍이 계속해 휩쓸고 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급격히 기후가 바뀌는 환경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생물종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육지에 사는 거대한 오징어인‘코끼리오징어’의 등장은 대표적인 예다. 대멸종으로 사라진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앞으로도 강진이 계속해서 일어날까. 최근 지진에서 이슈로 떠오른 궁금증을 풀어
보고
지진 예측은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 알아보자. 계속된 강진, 이상 현상인가한 달이 멀다 하고 계속해서 들려오는 지진 소식에 사람들은 ‘빙하기’ 같은 ‘지진기’가 온 것은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급하는 간이 장치를 만들면 지진 재해나 가뭄 재해 지역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름 20cm의 웨이퍼에 설치한 1600개 나노 탈염 장치에서 1분에 300mL의 식수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3월 21일자 인터넷판에 소개됐다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활성단층이 학계에 처음
보고
됐지만 아직까지 원전 주변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활성단층에 대한 체계적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것도 문제다. 서울과 경기 등 주요 수도권과 인구 밀집 지역에 대한 활성단층 조사는 어려움을 겪고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50’ 효소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셈이다. 이번에 발견된 효소는 지금까지 한 번도 학계에
보고
된 적이 없다. 코데인과 모르핀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진통, 마취 효과를 낸다.연구팀은 이 효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양귀비에 주입해 테바인과 코데인의 대사가 이뤄지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할 방법’을 고민하다 보면 새로운 발명 소재를 얻을 수 있다.다른 사람의 발명을
보고
도 발명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이미 세상에 나온 발명은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누군가 고민해서 내놓은 해결책이나 다름없다. 누군가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했다는 사실만 봐도 충분히 재고할 만한 가치가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황금벌레’에서 루그랑은 양피지에 나타난 양 그림을
보고
카리브해에 출몰했던 전설적인 해적 키드(kid) 선장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해골 그림과 양 그림 사이에 띄어쓰기 없이 빼곡하게 들어찬 숫자와 각종 부호가 나타나는 빈도를 표로 작성한 뒤 알파벳에서 ... ...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공수월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또한 독서를 통해 여러 분야의 과학 발전상을 접해
보고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문과와 달리 이과계열의 경우 기본적인 지식이 없이 책을 읽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기초지식을 습득한 토대 위에 관련 분야의 독서활동을 펼치는 것이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의 연구는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의 몸을 기계와 같이
보고
원리를 파악하려고 한 노력은 생리학이 발달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한편, 광학에서는 동물의 눈을 해부해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 속에서 상을 맺는 원리를 연구했다. 빛의 굴절을 이용해 무지개의 원리를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