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이식수술에 새로운 가능성 보여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자연유산된 태아를 이식에 이용하는것은 문제될 바 없으나 인공유산을 시켜 강제로
세포
를 꺼내는 것은 윤리상 중대한 인권침해이기 때문. 불행히도 자연유산된 태아는 유전적 결함을 지니고 있어 이식에 사용하기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시험관아기논쟁에 뒤이어 지금 또다른 윤리학의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하는데 그치지않았다. 각기 다른 종족에 속하는 1백47명의 여성들에게서 추출한 태반의
세포
에 들어 있는 DNA의 작은 조각들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윌슨 교수와 그의 여섯 명의 동료들은 우리 모두의 조상은 아프리카에서 태어났음을 발견하였다. 흑인, 유럽인, 아시아인, 뉴기니아 원주민, ... ...
PART4 인체를 닮아가는 인공장기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있다. 런던대학이 개발한 인공내분비췌장에는 랑게르한스섬(β
세포
가 들어있는 췌장
세포
의 무리)이 아미노산 폴리머와 해초에서 얻어지는 다당류 폴리머인 알긴산나트륨으로 된 복합재료 캡슐에 들어있다. 이 캡슐을 실험동물에 한번 주사한 것으로도 당뇨병증상을 1년이상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교수직에 맞아들였다. 그는 이 대학에서 유전과 그 성장 및
세포
막연구에 착수하는 한편
세포
를 암으로 만드는 바이러스연구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왓슨이 하바드대학의 정교수가 된 것은 크릭-왓슨의 연구가 발표된 8년 후인 1961년이었으며 이 때 왓슨의 나이는 33세였다.베스트셀러가 된 2중나선196 ... ...
마약보다 부서운 각성제 청신착란에까지 이르는 히로뽕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전문가들도 그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지 중독으로 인하여 뇌신경
세포
의 말단부분에 어떤 변화가 있고 그것이 어떤 기회에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을 뿐이며 재발시에도 처음과 같은 치료를 하면 곧 낫는다고 한다. 아뭏든 각성제는 무서운 약임에 ... ...
플라즈마 물리학 핵융합발전의 미래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있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그 뜻이 변하여 젤리같이 말랑말랑한 상태의 물질을 의미하여,
세포
의 원형질이나 우리 몸속의 혈장 등을 가리켜서 플라즈마라고 부른다. 아마도 영국인이나 미국인들이 젤리를 만들때 틀에 넣어서 만들기 때문에 말뜻이 변화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플라즈마라는 말을 ... ...
수면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수면은 세균의
세포
벽에 있는 물질(SPU)때문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펩티드보다 극적으로 잘 들었다.결과를 본 크루거킴은 '무라밀 펩티드가 뇌의 신경
세포
에 인터류카인Ⅰ을 만들게하여 그것이 잠을 촉진시킨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논렘 수면은 면역증감 과정이다'라는 발상에 이르게 되었다. 다시 정리해 보면 인터류카인Ⅰ은 수면물질임과 동시에 원래 면역증진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신경
세포
수 1백~1만)를 대상으로 신경
세포
시스템의 기본원리를 탐구하기 위한, 신경
세포
각각의 활동을 비접촉 동시계측하는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극히 중요하다.뇌와 비슷한 컴퓨터의 실현은 뇌의 정보처리에서 힌트를 얻더라도, 소자나 시스템을 모두 인간이 새로 고안해야 된다. 공학적으로 ... ...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것이 가공할 만한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을까 하는 것이다. 외래성 유전자를 생식
세포
에 떠맡은 생물의 출현이 현재의 생태계를 혼란에 빠뜨리는 것은 아닌가? 지금까지의 결과는 유전적으로 전환된 생물이 야생형에 비해 생존능력이 열등하여 생태계균형을 파괴하는 것은 도저히 있을 것같지 않다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올라간다. 17세기 말에는 '레벤후크'(Antony van Leeuwenhoek)가 광학 현미경을 개발하여 단
세포
및 세균의 존재를 밝혀냈다. 광학 현미경은 그 후 고도의 개량을 거듭하여 넓은응용범위를 가지게 되었다.그러나 광학 현미경은 원자 수준의 구조는 볼 수가 없다는 물리적 제약이 있다. 그 이유는 가시광선의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