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약연구의 본산, 유전공학연구까지 서울대 생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 물질이 있음을 밝혀내고 인큐베이터 속에서 조직을
세포
배양하는 생물공학적 생산을 시험하고 있다. 유전자 공학적 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방법이 개발되면 넓은 인삼밭이 필요없고 4년~6년씩 기르는 어려운 재배과정이 필요없게 된다는 것이다. 짧은 시간에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칼륨(${K}^{+}$)을 취하는 펌프 역할을 한다. 이러한 (N${a}^{+}$)/(${K}^{+}$)펌프작용 과정에서
세포
내에 음전하(陰電荷)를 띤 단백분자들의 영향으로 뉴런의 안과 밖사이에 전위(電位)가 생긴다. 전위는 안쪽에 대하여 음전하를 띠게 된다. 비활동 또는 휴식 뉴런은 -60밀리 볼트의 전압을 나타낸다. 만약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
이식의 새로운 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전술은
세포
이식을 하기 전에 당뇨병환자의 면역체계를 바꿔놓는 것이다. 이것은 헬퍼T―
세포
를 넉 아웃시켜 강력한 항원이 숨겨지도록 하는 것인다 이를 위해 약물을 수술직전에 투여한다. 이같은 세가지 방법의 칵테일이 아마도 당뇨병치료에 가장 좋은 해결책으로 쓰여질 전망이다. 컬럼비아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우리는 살아있는
세포
의 분자의 상호작용을 이용해 레이저 영화를 만들수 있으며 암
세포
를 죽이는 레이저도 개발하게 될 것이다. X-선 또는 감마선레이저는 생명의 기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말이 이어진다. "확실히 우리는 무기제조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무기가 ... ...
파스퇴르 종양바이러스 연구팀장 장셰르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침투시켰더니 이것은 혈액내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중 면역
세포
생산을 담당하는T
세포
를 공격, 파괴시켜 면역체계를 깨뜨림을 알았읍니다. 결국 이 바이러스의 발견은 천형으로 알았던 AIDS의 원인을 규명했고 앞으로 이병을 예방 치료할수있는 길을 연 셈이지요." -AIDS의 전파 경로에 ... ...
활발한 기술투자와 연구 한국의 유전자 산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병원체나 암
세포
를 찾아내는 등 질병의 진단에 주로 이용되어 인체나 동물의 건강한
세포
와는 결합하지 않고 특정항원하고만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특정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의 진단시약시장은 아직 크게 형성돼 있지 않지만 유전공학에 의한 단일클론 ... ...
일광욕, 단백질과 DNA파괴 위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문제는 DNA 자체가 자외선에 매우 약해 쉽게 파괴 된다는 것이다. 결국 손상 또는 파괴된
세포
의 복원이 어렵게 되어 건강의 유지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의 약화가 초래된다. 자외선의 잇점은 비타민D가 피부에서 합성되게 하고 신진대사를 돕는다는것. 그러나 연구자들의 보고로는 이제 자외선은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저는 암이 언젠가는 정복된다고 믿고 있읍니다. 17세기에 현미경이 나왔고, 암이
세포
의 병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게 1870년 무렵이었읍니다. 그리고 최초의 약물요법이 시행된 것이 1943년이에요. 실제로 적극적인 암퇴치노력은 겨우 40여년 남짓한 정도입니다. 1930년대에 암환자 5명가운데 1명이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발아가 일어날 때는 시냅스의 전위(電位)가 변하는 것을 발견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세포
수준의 현상을 학습이라는 행동수준의 현상과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가에 촛점이 모아져서, 동물을 조건반사(일종의 학습·기억)시키면 시냅스에 전위변화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즉 우리가 ... ...
마늘의 과학 항균작용이 탁월, 과대섭취는 간장장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수면을 일으키는 효과는 알리신이 신경
세포
의 인지질(phospholipid)에 작용하여 신경
세포
의 흥분을 조절하기 때문이며, 마늘이 배를 따뜻하게 하여 야뇨에 효과적인 것은 아릴신의 유황성분 때문이다. 우리나라 절(寺)에서나 제사에 마늘을 쓰지 않는 것은 마늘이 스태미너식품이기도 하지만 귀신을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