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도은 하은 언니! 드디어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취재 명령이 왔어.하은 정말? 어떤 임무야?도은 “과학으로 비밀의 정원을 디자인하라!” 이렇게 쓰여 있는데?하은 응? 무슨 말이지? ... 만들 수 있겠지?그럼, 물론이지! 나중에 어른이 되면 꼭 우리 둘이 멋진 정원을 만들어 보자. 약속~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특산종으로 유일하게 사는 곳이 울릉도야. 낮은 나무와 사람이 사는 곳 주변에 있는 약간 건조한 숲에서 살아. 껍데기가 얇고 암수동체로, 체내수정을 해. 제주도와 마라도 부근 해역에 사는 나팔고둥은 서식 조건이 까다로워 쉽게 발견하기 어려워. 전남 도에 사는 참달팽이는 얕은 야산의 나무와 ... ...
- 점프 황제돌이, 고향으로 점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지내고 있는데, 이번엔 절 또 다른 곳으로 보내는 거 있죠? 제가 살던 제주도에서 약 470㎞나 떨어진 이곳 서울대공원이었어요.다행히 이곳의 환경은 처음 수족관보다는 나았어요. 제주도에서 온 대포 형이랑 금등이 형이 있어서 금새 적응할 수 있었답니다. 형들이랑 물장구도 치고, 사육사 형, ... ...
- 우리나라에 살았던 네 발 초식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약 8500만 년~ 9500만 년 전 우리나라 남해안에도 네 발로 걷는 초식공룡이 살았대요. 1999년 경남 고성군 두호리에서 발견한 4족 보행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았어요. 이 공룡의 이름은 카르이르이크늄 경수키미예요. 남해안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을 연구하는 진주교육대 김경수 ...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그리고 나머지 두 사람은 투표를 해서 세 조각 중 우선순위 두 개를 정하도록 한다. 만약 두 사람의 최우선순위가 다르면 둘이 그 두 조각을 갖고, A는 나머지 한 조각을 갖는다. 하지만 B와 C의 최우선순위가 같으면 A는 나머지 두 개 중 원하는 것을 갖도록 하고(두 번째 우선순위도 같으면 A는 남은 ... ...
- 환경도 지키고 맛도 그만! 들풀의 재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용하고 있지. 사람들은 계속 약으로 쓸 수 있는 들풀을 찾고 있단다. 어때, 들풀의 활약이 대단하지? 친구들 주변에는 어떤 들풀이 있을까. 학교 운동장이나 공터 같은 곳에서 한 번 찾아보렴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결과는 ‘입소문이 더 파급력이 크다’였다. 친구가 투표했다는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는 약 2.08% 더 투표를 했다고 보고했고(투표 완료 버튼을 누름), 투표 장소를 알아보러 들어간 사람도 0.26% 많았다. 그리고 실제로 투표를 하러 간 사람도 0.39% 많았다(‘투표 완료’ 버튼은 실제로 투표를 하지 ...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더 컸다. 남학생의 경우 남녀공학에 비해 남학교를 다닐 때 영어와 수학 성적이 약 1% 높았다. 남녀공학에서 80점을 받았다면, 남학교에서는 80.8점을 받는다는 소리다. 국어는 0.24%였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효과가 작았다. 남녀공학에 비해 여학교를 다닐 때 영어 성적은 0.5% 높았고, 국어는 0.28%였다. ...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것은 북극 효모(Leucosporidium sp.)예요. 북극 효모 역시 영하의 얼음 호수에서 살아남기 위해 약 4.2×10-20g의 결빙방지단백질(LeIBP)을 분비하거든요.연구팀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면 단백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모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우선 북극 효모의 유전자를 분석해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바다에서 대기로 더 많은 열이 전달되는데 이 열이 북극 대기의 기압을 높여 북극진동을 약화시키고 결과적으로 한파를 일으키기도 한다. 2011~2012년 겨울에 한반도에는 큰 한파가 없었지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에는 극심한 한파가 몰아닥쳐 650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는 ... ...
이전4614624634644654664674684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