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 매스투어1탄, 위대한 수학 유산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2년 12호
- 계단의 수는 34개더라고요. 그럼 1회전의 둘레는 0.18m×34=6.12m 정도로 거의 비슷해요. 약간의 오차가 있긴 하지만, 튤립 계단이 원기둥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요. 퀸즈 하우스검정과 흰색 타일이 만드는 착시이제 그레이트홀로 들어가 볼까요? 홀 안을 쭉 훑어보니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안정돼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벌어지는 쌀알무늬 같은 대류운동의 침입에서 새끼흑점을 보호한다. 만일 하강운동이 약해 주변 대류운동이 안쪽으로 침범하면 새끼흑점은 점점 줄어들고 마지막에는 사라진다.이번에는 성장하는 새끼흑점을 보자. 자기장을 가진 주변 물질이 모여들면 새끼흑점이 커진다. 마치 자석가루가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결과는 ‘입소문이 더 파급력이 크다’였다. 친구가 투표했다는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는 약 2.08% 더 투표를 했다고 보고했고(투표 완료 버튼을 누름), 투표 장소를 알아보러 들어간 사람도 0.26% 많았다. 그리고 실제로 투표를 하러 간 사람도 0.39% 많았다(‘투표 완료’ 버튼은 실제로 투표를 하지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긴 가뭄 때문에 생산력이 약해지자 불안과 기근이 권력층을 뒤흔들었다는 것이다. 만약 마야인들이 그들이 멸망하고나서도 1300년이나 뒤인 오늘날의 재앙을 예견할 능력이 있었다면, 스스로의 문명이 끝나는 날도 예측해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지 않았을까 ...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더 컸다. 남학생의 경우 남녀공학에 비해 남학교를 다닐 때 영어와 수학 성적이 약 1% 높았다. 남녀공학에서 80점을 받았다면, 남학교에서는 80.8점을 받는다는 소리다. 국어는 0.24%였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효과가 작았다. 남녀공학에 비해 여학교를 다닐 때 영어 성적은 0.5% 높았고, 국어는 0.28%였다.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앞서 이야기한 것같이 윈난은 중국 최대의 약초 재배지다. 중국 농업과학원은 신약 물질을 생산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데 특화된 기관이다. 연구가 진행될수록 서로 더 큰 이익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이중구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장은 “연구의 시작부터 최종단계까지 중국 농업과학원과 ...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것은 북극 효모(Leucosporidium sp.)예요. 북극 효모 역시 영하의 얼음 호수에서 살아남기 위해 약 4.2×10-20g의 결빙방지단백질(LeIBP)을 분비하거든요.연구팀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면 단백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모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우선 북극 효모의 유전자를 분석해 ...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석유 생산이 정점에 달한 뒤 생산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허버트의 주장보다는 약간 늦지만 실제로 미국은 1970년대에 하루에 960만 배럴을 생산하며 정점을 찍고 현재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다시 생산량이 조금 늘어났지만 600~700만 배럴 수준에 머물고 있다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크기는 2.5~3.5nm다. 이러한 나노세공체는 소량의 약물로도 약효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약물전달체나 화학물질 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다. 같은 무게의 물질이라도 표면적이 훨씬 넓고 세공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장종산 박사는 “다양한 금속 이온과 리간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바다에서 대기로 더 많은 열이 전달되는데 이 열이 북극 대기의 기압을 높여 북극진동을 약화시키고 결과적으로 한파를 일으키기도 한다. 2011~2012년 겨울에 한반도에는 큰 한파가 없었지만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에는 극심한 한파가 몰아닥쳐 650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는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