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잠자던 학용품, 희망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뛰어노는 친구들이 많아요. 학교에는 긴 책상과 의자뿐, 펜이나 종이 등의 학용품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답니다.희망의 학교 친구들은 어과동 친구들이 보내 준 펜을 가지고 자신의 이름을 이곳의 언어인 크메르어로 써 보고, 미래의 꿈을 그림으로 그렸어요. 부채나 팔찌, 색종이에 그림을 그리기도 ... ...
- 거북선을 찾아라! 보물 찾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난 보물이 있는 곳이라면 전세계 어디든 떠나는 위대한 모험가 루피 R이야. 다들 날 해적이라고 부르지! 이번에 내가 손에 넣은 보물 지도에 따르면 대한민국 진도군 바다 아래에 엄청난 보물이 숨겨져 있다는군. 그 보물 이름이 ‘거북선’이라나? 거북선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사용했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양성자 치료 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병원에는 의사, 간호사 이외에도 여러 직업의 사람들이 있어요. 환자들의 혈액과 소변을 분석하는 임상병리사, X-ray와 MRI 등으로 환자의 몸을 ... 의학물리학자라는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어요. 앞으로 양성자 치료가 더욱더 발전되어 암을 정복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길 기대합니다~ ... ...
- 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이제 나무 고층 건물이 대세!2010년 이후, 전세계 많은 건축가들은 나무로 건물을 짓는 데 관심을 가졌어요. 특히 도시에 나무 건물을 짓겠다는 건축가들이 많았지요. 도시에 비슷한 콘크 ...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 ...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해바라기는 항상 해를 본다고 알려져 있어요. 정말 이말이 사실일까요?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의 스테이시 ... 꽃가루를 더 잘 옮기게 된다는 거예요. 실제로 실험에서 히터로 꽃의 온도를 높이자 이전보다 더 많은 곤충이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보고 사람들은 옛날부터 블루홀을 ‘자연의 보석’ 이라고도 불렀답니다. 아주 오래 전에 깎인 땅이 물 속에 그대로 잠긴 덕분에 블루홀에서는 화석을 발견하기 쉬워요. 또 산소가 거의 없는 지역까지 내려가면 동물의 뼈가 그대로 보존돼 있기도 하고요. 따라서 지질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겐 멋진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치면서 비가 쏟아져 내리는 현상을 나타내지요.‘우레 뇌(雷)’는 ‘비 우(雨)’에 ‘밭 전(田)’을 더한 글자예요. ‘밭 전(田)’에는 우르릉하는 천둥 소리가 거듭된다는 뜻도 있어요. 그래서 두 글자가 합쳐진 ‘우레 뇌(雷)’는 비 내리는 날 몰아치는 천둥번개를 의미하게 되었지요.‘비 우(雨 ...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알려졌지요. 하지만 우리 하드로사우르스는 많은 공룡들이 사라지고 난 뒤인 7000만 년 전 백악기 말에 오히려 번성했어요.일리 : 하드로사우루스가 번성했던 이유가 있을까?하드로사우루스 : 우리 이름인 하드로사우루스는 ‘오리 주둥이 공룡’이라는 뜻이에요. 오리처럼 넓적하고 길게 생긴 ... ...
- Part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초고층 건물이 탄생한 배경에는 콘크리트와 철 같은 강한 건축자재의 개발이 있었어요. 하지만 최근 전세계 곳곳에서 나무로 고층 건물을 지으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요. 왜 예전 건 ...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거북목은 단단한 껍질로 온몸을 보호하고 있는 파충류예요.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거북과 저수지나 호수에서 서식하는 민물거북, 또는 육지에서 서식하는 육지거북 ... 먼저 공격하지 않는 거예요. 뱀의 습성을 이해하고 삶을 존중해 주는 것이 바로 숲을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이랍니다 ... ...
이전4614624634644654664674684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