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계 두 번째 빛 공해 지역이 우리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했을 때
전
세계의 80% 이상이 빛 공해를 겪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89.4%가 빛 공해에 노출돼 있었어요. 이건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심한 빛 공해 상태랍니다. 연구팀은 국토의 면적이 좁을수록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아져서 빛 공해에 노출되기 쉽다는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친구들에게 한말씀 해주세요.우리 팀의 우승 비결은 팀워크예요. 요트를 운
전
하다 보면 바람의 방향이 갑자기 바뀌거나 다른 팀 요트와 부딪히는 등 다양한 변수가 일어나거든요. 하지만 서로를 믿으며 순간순간 팀에서 필요한 부분을 먼저 나서서 채우다 보니 큰 사고 없이 대회에서 우승할 수 ... ...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다음 세대를 남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이런 생존
전
략 때문에 기온이 높아지거나 천적이 사라지는 등 환경과 생태계가 조금만 바뀌어도 곤충은 그 수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어요.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부 변봉규 교수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생태계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잔상 효과는 물체가 사라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따라서 그림 여러개가 빠르게 회
전
하면서도 사진이 보이지 않거나 그림과 그림 사이에 검은 종이가 나타나는 등의 짧은 공백이 꼭 필요하지요. 만약 잔상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림이 오히려 뭉개져서 잘 보이지 않게 돼요. 달리고 있는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찾아볼 수 있거든요.사람들은 왜 다른 하늘소를 보고 장수하늘소라고 생각하는 걸까요?
전
국 각지에 장수하늘소와 비슷하게 생긴 큰하늘소들이 살고 있기 때문이에요. 가장 많이 제보되는 종은 버들하늘소예요. 얼핏 보면 장수하늘소와 비슷한 부분이 많아요. 하지만 장수하늘소에 비해 몸집이 작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사라지면 지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요? 우선 안정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
전
축이 마구 흔들릴 거예요. 그러면 지구는 아주 춥거나 아주 더운 날씨가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어요. 또한 하루 두 번 생기는 밀물과 썰물의 차이도 사라지겠죠? 이처럼 달은 지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에 꼭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2014년 11월에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는 많은 사람들에게 우주탐사에 대한 꿈을 안겨 줬어요. ‘인터스텔라(interstella)’는 ‘사이’를 뜻하는 ‘inter’와 ‘별’을 뜻하는 ‘stella’가 합 ... 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
전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상아는 다른 이빨과 달리 뿌리가 없는 게 특징이에요.플라스틱이 세상에 나타나기
전
, 상아는 당구공에서부터 피아노 건반까지 생활물품의 훌륭한 재료였어요. 금속보다 가볍고 가공하기 쉬웠거든요. 하지만 사람들이 상아를 많이 사용하면서 코끼리의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문제였어요.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못하는 사람도 있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창업하기
전
에 돈도 없었고, 프로그램을 개발해 줄 사람도 부족했어요. 그런데 이런 저런 걱정만 하다 보면 창업을 할 수 없겠더라고요. 일단 시작하자는 마음으로 회사를 그만두고 나왔죠. 일을 저지르고 나니 거짓말같이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
공한 학자는 거의 없다. 화산학으로 학위를 해도 취직할 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뉴스에서 화산 관련 기사가 심심찮게 나오는데 비해 백두산 연구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아쉬워했다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