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어떻게 유지될까. 언어중추에 손상을 받아 심한 실어증에 빠졌을 경우 우리는 이
세상
을 어떻게 경험하며 어떻게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있을까.하드웨어로서 두뇌현대 신경과학은 우리의 정신이나 의식이 결코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며 튼튼하고 잘돌아가는 하드웨어로서 두뇌를 필요로 한다고 ... ...
노벨상물리학자「존 바딘」별세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두번씩이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던 존 바딘이 지난 1월 30일 보스톤의 한 병원에서
세상
을 떠났다. 향년 82세.바딘이 과학계에 명성을 드러낸 것은 동료였던 브리튼, 월리엄 쇼클리와 함께 1947년 트랜지스터를 발명하면서 부터다. 당시 그들은 뉴저지주에 있는 벨연구소에서 고체물리학을 연구하는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발전으로 타악기 관악기 건반악기 등 기존 악기분류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세상
에는 수많은 악기들이 있다. 피아노나 바이올린과 같이 줄을 울려서, 플루트나 트럼펫처럼 관을 울려서, 실로폰과 같이 판을 울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들을 전통악기라 하면 전자오르간이나 신서사이저와 같이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의 영감을 가진자'라는 명언을 남겼다.1931년 10월18일, 발명왕 에디슨은 84살의 나이로 이
세상
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날 밤 10시, 미국 사람들은 1분동안 어느집이고 일제히 전등을 끄고 에디슨의 명복을 빌었다고 한다. 1천여가지의 발명특허를 얻었고, 1882년에는 세계 최초로 발전소를 설립해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신도 있었다. 그밖의 다른 신도 믿는 한마디로 다신교 민족이었다.그들은 밤이 찾아오면
세상
의 종말이 오는 것으로 믿었다. 그래서 저녁나절부터 어둠이 깔릴 때까지 주문을 외웠다. 대개 기도중에 잠이 들었다. 날이 밝으면 신의 덕택으로 새로운 날을 맞이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신을 만나려면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환상의 세계가 펼쳐져 있다. 섬과 산 그리고 이상의 땅에서 자란 거대한 나무들로
세상
이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소박한 세계관이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환상의 세계를 담은 천하도가 지금도 우리의 관심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튼 서양의 중세에 그렇게 흔했던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말하는 소리를 거침없이 흉내내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소리를 흉내내는 신기한 새가
세상
에 소개되었고 아홉명의 관리들이 처음 발견했다고 해서 구관조라는 이름이 붙었다.구관조는 5,6마리가 작은 무리를 지어 다닌다. 그들은 늘 떠들썩하게 지저귀고 숲속을 부지런히 헤매는 수상성(樹上性)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표현을 소개하고 본론으로 들어갈까 한다.샤르댕 신부는 "하느님은 전능하시지만 이
세상
을 창조할 때 완전하게 창조하시지 못했다. 때문에 이 지구는 진화한다"고 했고, 아이스너라는 과학자는 "왜 생물의 진화까지도 하느님이 창조했다고 생각하지 못하는가"라고 설파했다.모습 드러내는 빙산사실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도시의 발달과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대기가 오염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이끼도 좋은
세상
을 마감하고 만 것이다.유럽등지에서는 이 사실이 19세기 말엽부터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그뒤 나서서 거론하는 사람이 없어 오래도록 묻혀 있었다. 그러다가 최근 다시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이끼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바이오센서가 제
세상
을 만나고 유전병의 치료와 로봇에도 활용될 것이다.'얼룩송아지 엄마 닮았다'는 동요에는 상당히 심오한 과학적 의미가 담겨 있다. 유전현상을 가장 간결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언뜻 생각하면 사람이 사람을 낳고 개가 개를 낳는 사실은 너무나 당연하게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