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답은 ④입니다.우리들은 물질이나 세계를 매우 복잡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세상
이 어떻게 형성되었을까를 고민하던 사람들은 몇가지 단순한 물질(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생각들로부터 현대의 과학적인 물질관으로 발전하기까지에는 수많은 선인들의 노력이 ... ...
나의 딸─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글쓰기 방법(PWP 보석글)부터 셈하는 방법(로터스 쿼트로) 기억력 증진학습(데이터베이스)
세상
살아가는 지혜(NORTON PC TOOLS)에다가 각종 외국어까지(포트란 파스칼 C베이직 ADA) 가르쳤으나 아직도 부족한 생각이 든다. 거기다가 이 애비가 외국어를 잘 못하니 외국어는 헛 가르친거다(현재 열심히 ... ...
프로그래밍언어의 변천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사용되었는데, 이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어떻게 변천되어 왔을까.인간과 컴퓨터의 대화
세상
에서 가장 초기에 작성되었다고 알려진 알고리즘(algoriithm)은 약 3천5백년에서 5천년 전에 바빌로니아인들이 사용한 60진법 표기와 부동소숫점 표기법이었다. 여기서 알고리즘이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프리고진/이사벨 스텐저스 공동지음, 신국조 옮김, 정음사)'질서와 무질서의 관계' '
세상
은 가역적이고 정적인가?' 등의 과학의 의문점에 대한 답을 열역학의 개념속에서 해설했다. 엔트로피 개념의 중요성을 부각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러나' '만약'등의 제한적 용어를 자주 쓰게 된다. 한편 과학자도 한사람의 인간으로
세상
이 보다 좋아지기를 바라며 잠재적이고 의심쩍어 보이는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충분한 근거없이 단정하거나 사실을 단순화시키는 잘못을 범한다. 다시 말해 과학자는 이중의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제 이순을 넘긴 원로학자가 된 그에게는 마지막 소망이 있다. "비록 부모님은 이미
세상
을 떠났지만 고향에 돌아가 모교에서 조류학 강의를 한번 해밨으면…" 하는 꿈이다. 그래서 그는 일년 전부터 모종의 계획을 세우고, 실현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즉 북한의 조류생태연구를 위해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여부로 국정감사에 불려나온 경상현 전자통신연구소장은 "과학기술은 물론
세상
만사가 모두 양면성을 갖는다"며 얼버무리기도 했다.또 경찰수뇌부의 집요한 강요에도 불구하고 박종철군의 사인은 '고문치사'라고 감정서에 기입했던 과학수사연구소 황적준박사는 그의 일기장에서 "결심을 하기까지 ... ...
PART1. 개념과 특성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있어서 양자화되어 있어서 하나의 입자처럼 생각할 수 있다. 전자파 뿐만 아니라 이
세상
의 모든 물체도 입자와 파동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현대물리의 설명이다.돌아가지 않는다빛도 방송파와 마찬가지로 전자파이지만 가시광의 파장이 훨씬 짧기 때문에 물체를 돌아가는 특성이 약하다. ... ...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특수상대성 원리와는 정면으로 위배된다. 왜냐하면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이
세상
그 무엇도 빛보다는 빨리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아인슈타인은 이 모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0년동안 고심한 끝에 상대론적인 중력이론을 만드는데 성공했는데 이를 일반상대성 이론이라 부르고 있다.이 이론은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이와 함께 이번 국정감사를 계기로 모든 사실이 밝혀져 안심하고 전화를 할 수 있는
세상
이 오기를 기대하고 있다.이번 도청시비를 둘러싸고 제기된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 문제는 앞으로 발전하는 과학 기술이 인간을 힘든 노동에서 해방시켜 주게 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권력이 인간을 감시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