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효식품 탁월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강의는 서양의 식품학 서적에 의존해 왔다. 이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중고등
학교
의 교사가 돼 가르칠 수 있는 것은 빵이나 마요네즈, 샐러드 만드는 것일 수밖에 없다. 요즘 젊은이들은 우리 음식보다 서양음식을 더 잘 알고 좋아하도록 교육받은 것이다. 세계에 유례없는 발효조미식품 ... ...
2 IQ 검사 왜 하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서열화하는 일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이렇게 생각한다면
학교
등에서 지능검사를 하는 것이 얼마나 특수한 일인가를 알 수 있다. 의미가 있는 것은 제한된 장소에 한한다.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거나 보통교육을 따라가지 못하는 아이를 선별하기 위해서만 유효한 것이다 ... ...
3 검사, 언제부터 비롯됐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한 살 연상의 아이에게는 가능한 과제를 많은 예비작업을 통해 수집했다.그것도
학교
에서 배우는 지식과 같은 것은 될 수 있으면 버렸다. 가령 7세 수준의 문제로는 '다섯개의 숫자를 복창한다'는 것이 있다.비네의 독창성은 지적열등의 판단기준을 정상아수준과의 비교에 둔 데 있었다. 열등하거나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실례다. 1993년 에릭슨 박사는 음악 전문
학교
의 최우수바이올린 연주자들은 20세가 될 때까지 총 1만 시간을 연습한데 비해 그보다 약간 못한 수준의 연주자들은 평균 7천5백 시간을 연습에 쏟은 것을 발견했다.중국 올림픽 다이빙 선수를 대상으로 한 플로리다 주립대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또한 자연선택설에 따른다면 그 이유는 분명 좋은 것이어야 한다. 뭐가 좋을까? 고등
학교
만 졸업한 사람이라면 금방 얘기할 수 있다. 유성생식이 좋은 것은 변이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한 후손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많으니까 좋은 것 아니냐고. 맞는 말이다.그러나 여기에 의문을 ... ...
1. 13살 컴퓨터 입문-30대 미국 제일 재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도구라는데 확고한 믿음을 가진 그는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학교
를 중퇴, 폴 앨런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사를 설립한다. 두 사람은 새로 회사를 만들기 위해 애플과 코모도사에 프로그램을 짜주는 등의 일을 해주고 수십만 달러를 모았다.80년 7월은 그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갈아주며 추녀끝에 매달아 놓았다. 그러면 베짱이와 여치는 잘 울어 주었다.소
학교
때는
학교
길에 강가 모래사장에서 명주잠자리의 애벌레인 개미지옥이 숨어 있는 작은 모래웅덩이를 파헤쳐 그 속에 숨어 있는 벌레를 찾아 모래 위에 놓고 굴을 파는 모습을 보곤 했다. 이때 그 웅덩이에 개미를 ... ...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결과는 좀체로 기름이 절약되지 않는 것으로 다큐멘터리는 끝을 맺었다.그 젊은이는
학교
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빈번하게 취급되는 에너지 보존법칙을 이해했다면 그렇게 시간과 돈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만약 그 아마추어 발명가의 의도대로 자동차가 동작하여 기름이 절약되었다면 ... ...
컴퓨터 프랙탈 그림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극한, 행렬과 변환 등의 개념등이 풍부하게 들어가 있다. 따라서 미국 등에서는 고등
학교
에서 프랙탈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카오스(Chaos) 이론도 2차함수, 삼각함수 등의 수학 내용과 같이 자연스럽게 수학시간에 소개되고 있다. 아무쪼록 수학을 컴퓨터와 관련시킨 이 글을 통해 수학은 공식과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구할 때 마치 수박을 자르는 것처럼 차례로 붙여 나가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국민
학교
에서도 배운다(아래 그림). 직사각형의 위와 밑변이 처음에는 파도처럼 보이지만 짧게 자를수록 직선형이 돼간다. 그것이 바로 미분적인 생각이다. 그리고 한없이 작게 나눈 것을 다시 본래의 모양으로 바꾸어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