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0행성설, 카이파벨트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6
같은 관측대상은 망원경의 지름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보이는
시야
가 협소해지기 때문이다. 플레이아데스망원경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은 CCD소자를 모자이크처럼 여러개 늘어놓아 넓은 영역을 커버하고 있다.카이파벨트에는 대량의 소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이중성알비레오, 환상적자태자랑
과학동아
l
199406
높이 올라오려하고, 목성은 스피카를 따라 점점 서쪽으로 가고 있어 이제 이 두행성의 한
시야
에 들어온다. 밤하늘이 밝아지는 느낌이다. 한편 동쪽하늘에서는 수많은 성운 성단을 거느린 전갈과 궁수자리가 화려한 은하수를 대동하고 서서히 자태를 뽐내고 있다. 전갈 바로 옆에는 황도상에 ... ...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05
아니고 지구의 표면이라는 지극히 특수한 장소에 살고 있는 것이다.소립자의 세계는 진공
시야
를 극미의 세계로 돌려 보자. 생물은 세포로 만들어졌고 그 세포들은 또 분자로 만들어졌다. 분자들은 몇가지의 원자가 결합함으로써 만들어지며 원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 등과 같은 소립자로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도토리 등 견과류를 채집해 살았을 것이다. 따라서 상악동(上顎洞)이 커지고 근거리
시야
의 시각정보 처리능력과 서로의 신호교환을 위한 발성능력 청각능력이 발달됐을 것이다. 또 가파른 산길을 오르내리자니 폐활량이 커지고 하체는 짧고 튼튼해졌으나 건조한 환경이 아니므로 코가 길어지고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03
쉽게 관측이 되는 것 같다.고물자리는 카파성과 처녀자리의 감마성 포리마는 망원경
시야
에 넣는 것부터 쉽지 않다. 성도상의 위치와 몇번의 대조 끝에 이 별들을 확인하고 배율을 높였을 때 고물자리의 별은 쉽게 분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리마의 경우 1988년 처음 볼 당시는 분해에 성공했지만 199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어차피 전문가가 아니라면 이론적 측면보다는 관심이 중요합니다. 관심이 있으면
시야
가 넓어지게 되지요.지난 4일간 개인적으로는 반성을 많이 했습니다. 학부에서 조류를 다룰 때는 해부학적 관점으로 '안락사시키는 방법'등 주로 죽이는 방법만을 연구했지요. 여기서 인식의 전환이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02
빈 공간이 생겨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액체 상태의 물은 분자를 볼 수 있는 미시적인
시야
로 보면 틈이 많은 액체다. 물분자에 존재하는 틈의 크기는 대략 5Å가 된다고 한다. 물 분자와 친하지 않은 부분인 에틸기(-${C}_{2}$${H}_{5}$)가 이 틈에 들어가고 수산기가 이웃한 물분자와 수소결합을 하는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02
이중성이다. 여기에 목성이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 쌍안경 관측시 목성의 4대 위성이 한
시야
에서 나타나게 된다.목성은 태양계내의 행성들중 가장 크지만 초보자가 보는 목성의 표면은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계속적인 관측을 통하여 숙련자가 되어야만 표면 무늬의 자세한 모양을 제대로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허블을 수리하는 작업을 연습한다. 손튼과 에이커스는 수조속에서 코스타(COSTAR; 허블의
시야
를 회복시킬 두 개의 장치중 하나)를 설치하는 연습을 한다. 이 기발한 장치는 우주망원경연구소의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이들은 허블의 다른 네개의 기구에 빛이 입사하는 것을 교정하는 장치를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시야
내에서 흐리고 작지만 별과는 구별되는 부푼 모양의 혜성을 발견할 것이다. 이것을
시야
의 중앙에 넣고 고배율의 접안렌즈로 교체해 다시 관측하면 까만 하늘을 배경으로 명암이 살아나 좀더 자세히 혜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망원경이 없는 사람이라도 쌍안경을 가지고 시도해보라. 하늘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