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12
여기에 가이드촬영을 하면 대형 망원경에서나 볼 수 있는 12등성까지도 망원경보다 넓은
시야
에서 두고두고 볼 수 있는 것이다.여러가지 필터를 조합해 찍으면 희미하여 구별이 잘 안되었던 성운 성단들도 그 베일을 벗고 본래의 모습을 드러낸다.초보자의 장비'천체 사진 촬영'하면 별의 일주운동에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12
해당하는 V자 모양의 산개 성단으로 맨눈으로 쉽게 보인다. 파인더나 쌍안경 또는 광
시야
망원경을 통해볼 때 가장 훌륭한 모습으로 보인다. 1등성 알데바란은 실제로 이 성단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새벽 하늘의 목성새벽녘에 동쪽 하늘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금성이 아니라 목성이다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12
광양항을 떠나 중국으로 출항하던 파나마 선적 9천t급 화물선 비지아샨(Bi Jia Shan)호는
시야
불량으로 인해 제5금동호를 발견하지 못하고 들이박고 말았다.파손된 제5금동호는 피를 흘리듯 벙커C유 1천t을 바다로 토해냈다. 신고를 받고 긴급출동한 해양경찰청의 방제선과 각종 선박들이 흘러나온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11
천왕성이 이달 1일에 최접근하여 1도 6분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게 된다. 즉 두 행성의
시야
상에서 거리가 안드로메다 은하 시직경의 반 정도 밖에 안되는 것이다. 천왕성은 5.8등급의 밝기이고 해왕성은 8등급의 밝기이다.■ 끝나버린 월식이달 29일에 개기월식이 일어나지만 우리나라에 달이 뜰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있고, 자정이 넘어도 꺼질줄 모르는 불빛(인공조명)들이 먼지층에 되반사돼 우리의
시야
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를 광공해(光公害) 현상이라 부른다.서울의 밤하늘은 얼마나 오염됐을까. 서울에서 비교적 가까운 충북 진천이나 인천의 을왕리와 비교한다면 얼마만큼 별이 안보일까. 부산과 진주의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이 행성은 약 13개월마다 충의 위치에 온다. 물론 충일 때가 관측의 최적기이다. 망원경
시야
에 떠오른 목성의 외형을 보면 찌부러진 타원으로 보인다. 이것은 목성의 자전주기가 약 9시간 50분으로 짧기 때문에 적도부분이 부풀어져 타원처럼 되어 있는 것이다.여러분은 저 유명한 대적반(大赤班)을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10
북동쪽에서 아주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천왕성과 해왕성이 접근하여 쌍안경의 한
시야
내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천왕성은 5.8등급의 밝기와 3.6초의 시지름을 갖고 있고, 해왕성은 7.9등급의 밝기와 2.2초의 시지름을 유지한다.■ 몰려있는 행성들이달 15일경 처녀자리와 천칭자리에는 태양계내의 많은 ... ...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09
개발했다. 아이맥스의 원래 뜻은 원래 인간의 눈(eye)이 볼 수 있는 최대(maximum)
시야
를 의미 한다. 즉 화면의 크기를 인간의 눈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폭 이상으로 펼쳐 놓은 것이다. 보통 이이맥스라고 한다면 영상 한 컷당 물리는 톱니구멍의 수가 15개(70㎜ 영화는 5개). 따라서 필름의 면적만 70㎜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09
파인더에서도 볼 수 있는 커다란 계란형의 조각으로 은하수의 일부분이다. 쌍안경이나 광
시야
의 망원경에서 가장 잘보이며 60배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별구름의 동쪽 끝에 이중성 β639와 그것의 15분 북북서쪽에 산개성단 NGC6603(11.4등급, 크기 4.5도)가 보일 것이다. 이 희미한 모임은 6인치보다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09
동물은 눈이 얼굴 양쪽에 붙어 있어서, 뒤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 둘레가 다 보일 만큼
시야
가 넓어 적을 재빨리 발견할 수 있다.착각(착시)은 당연한 것실제와는 다르게 느끼는 것을 착각이라고 한다. 착각 중 시각에서 일어나는 것을 착시라고 하며, 선이나 모양이 달리 보이는가 하면 원근감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