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199205
부터 약 37도 정도 올려다보이는 곳에 놓이게 된다. 물론 공교롭게도 이 쪽 방향의
시야
가 완전히 차단된 곳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위성전파를 수신하는데 별다른 장애가 없을 것이다. 인공위성을 바로 한반도 상공에 머무르도록 한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할 수도 ... ...
도쿄대, 첨단공학 박사과정 직장인에 개방
과학동아
l
199204
설득력이 있다.따라서 이 박사과정은 사회인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이들의 폭 넓은
시야
를 수용해 학제간(學際間) 연구로 활성화한다는 것이다.그리고 그동안 일본 대학들이 외국인에 폐쇄적이었던 점에 비해 이 과정에는 외국인에게도 과감하게 입학을 허용한다는 것. 이는 외국인들이 그동안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03
시작해 1984년에 완료됐다.해군에서 차출된 전문잠수부들이 이 인양작업에 투입됐는데
시야
거리가 제로인 칠흙같은 평균수심 20m의 뻘밭에서 15°정도 기울어 있는 배를 건져내는 일이 결코 용이할 수 없었다. 동서남북이 전혀 구별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잠시만 물속에 머물러 있으면 시속 2.5노트의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02
세로의 비율을 2.3대 1로 하는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가 개발된 것이다. 이로써 인간의
시야
범위와 비슷한 대형화면을 꽉 채우는 웅장한 영화들이 선을 보이면서 당시 경제적으로 위기에 처해 있던 영화산업은 아연 활기를 되찾게 되었다.대형화면의 기술적인 발전은 1965년에 이르러 70㎜ 초대형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01
스치듯 지나가기 때문이다.이토록 가깝게 지나가는 소행성들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
시야
에서 사라지기 전에 장비를 동원하여 작업에 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이들을 자세히 관찰하는 일은 매우 어렵기만하다.이 가까운 소행성 중 하나가(혹은 '지구를 스쳐가는 별'이라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12
3주동안은 낮에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 별은 그로부터 21개월이 지난 1056년 4월 우리
시야
에서 사라졌다. 이 별에 대한 유럽의 기록은 없다. 이것은 이 시기가 유럽의 중세 암흑시대로 천문학이 거의 사라진 시기였기 때문일 것이다.폭발 과정에서 이 초신성은 태양의 5억배 이상의 밝기로 빛났을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12
처음 한쪽 모서리에서 시작해도 어느 시간이 지나면 달은 반대쪽 모서리로 진행해
시야
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이 연속촬영 시간이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가능시각은 (표2)와 같다. 한 필름에 연속적인 변화를 전부 촬영해야하므로 다중노출이 되는 셈인데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11
커해의 중요한 성질을 증명하는데 10년의 세월을 소모했다.지구의 지평선이 우리
시야
의 경계인 것처럼 서로 연락하기 위한 경계인 사건지평선 내에 있는 관측자는 외부에 있는 관측자와 그 방법이 무슨 방법이든간에 심지어 빛을 보낼지라도 서로 연락할 수 없다. 빛이 아닐지라도 아무 것도 빠져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11
세 개의 성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M36 M37 M38이 바로 그들인데 이들은 모두 쌍안경의 한
시야
에서 볼 수 있다. 쌍안경 속에서 이들은 희미한 빛 덩어리로 보이는데 작은 망원경 속에서는 각각의 별들이 구별되어 보인다. 각 성단은 명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M36은 셋 중에서 가장 작고 가장 밀한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10
이곳에 또다른 나선 은하 M33이 있는데 이것은 M31보다 좀 더 먼곳에 있다. 이것은 우리
시야
에 정면으로 놓여 있으며 만월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하늘을 덮고 있다. 그러나 M31은 매우 어두워서 찾기가 상당히 어렵다. M33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밤이 필수적이며 쌍안경이 그 희미한 빛을 농축하기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