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미국 청소년, 기후 소송 첫 승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미래 세대를 위해 소송을 하기로 결심했지. 화석 연료 사용이 늘어 가뭄과 홍수, 산불 등 일상에서 이상 기후가 잦아졌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말이야. 3년에 걸친 재판 끝에 재판부는 청소년들의 의견에 손을 들어줬어. 이 결과는 정부 상대로 승리한 첫 기후 소송이었어. 첫 승리였다니! 어떻게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초전도체가 아닌 다른 물질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연구팀이 이석배 연구원팀의 논문에 나온 제조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연구팀도 LK-99가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했어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명과학자에 도전! 디스커버리 현미경 세트와 3D 야광 인체 모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스마트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존 현미경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보려면 연구자는 몇 시간 동안 각별히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계속 움직이는 미생물의 이동 경로를 현미경으로 추적하는 과정은 매우 까다롭지요. 스마트 현미경은 인공지능이 낮은 배율의 현미경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기준으로 길을 안내했지만, 요즘은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수나 도로의 폭, 규정 속도 등 다양한 데이터를 계산해서 알려주는 똑똑한 인공지능으로 변화했습니다. 즉, 거리상으론 멀어 보여도 실시간 교통 상황을 분석해 최적의 길을 안내해주는 것이죠. 내비게이션은 우리의 운전 습관이나 취향,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우리나라와 위도가 비슷한 국가는 가까운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입니다. 이들 국가는 위도가 비슷하지만 대륙과 해양의 위치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커서 기후는 조금씩 다르답니다 ... ...
- [출동, 슈퍼M] 휘리릭~ 달력을 넘겨 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있는 달력을 한 장씩 넘겨 보세요. 달력에는 양력과 음력 날짜, 공휴일 등 여러 정보가 담겨 있답니다. 나만의 달력도 만들어 보세요! 탐구 1. 맞혀 봐, 달력 퀴즈!달력에 적힌 정보를 보고, 퀴즈를 풀어 보세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서로 퀴즈를 내보는 것도 좋아요! 탐구 2. 나만의 생일 달력 ... ...
- [어수티콘 사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뼘을 단위로 정했다면, “내 키는 열 뼘이야!”, “이 책의 길이는 두 뼘 반만큼이야!” 등으로 말할 수 있어요. 어수동 : 그런데 나의 한 뼘과 친구의 한 뼘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른데요? 수달 : 맞아요. 몸을 이용해서 길이를 재면 누가 재느냐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므로 여러 사람이 똑같은 수치를 ... ...
- 먼 거리는 킬로미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장소 사이의 거리, 건물의 높이, 바닷물의 깊이 등을 잴 때는 주로 미터(m)를 써요. cm로 나타내기엔 너무 긴 것들이지요. 1000m가 넘는 길이는 킬로미터(km)라는 단위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km는 m의 1000배인 길이예요. 도시와 도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거리를 말할 때는 km를 쓰면 편리해요. ...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알아야 하지요. 슈퍼M과 함께 가구 크기 재는 법을 알아봐요. 책상, 책장, 장롱 등 대부분의 가구는 모든 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뤄진 입체도형인 ‘직육면체’와 비슷해요. 가구가 직육면체 모양이어야 사각형 모양의 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직육면체의 부피를 잴 때 ... ...
-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사람의 손길에 익숙해지도록 하루에 한 번 이상 쥐를 만졌죠. 그런 다음 연구팀은 쥐의 등과 배를 부드럽게 간지럽혔어요. 또 손으로 쥐를 뒤쫓아 쥐가 자발적으로 손을 향해 달려오게 하는 술래잡기 놀이를 했습니다. 연구팀은 쥐가 간지럼을 타고 노는 동안 사전에 쥐의 뇌에 이식한 전극을 통해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