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일어나 눈이 저절로 감겨버리기 때문이지요. 반사는 외부 자극이 생겼을 때 학습 등을 담당하는 대뇌를 거치지 않고 우리 몸이 바로 반응하는 것이에요. 눈앞으로 무언가 날아오는 것을 보고 자신도 모르게 눈을 감아버리는 것도 반사입니다. 코를 간지럽히는 자극이 코 점막에 있는 신경으로 ... ...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b’의 땅속에 생명체가 살 수도 있다고 추측했어요. 프록시마 b의 온도, 빛, 바람 등이 생명체가 살기에 적당하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는 행성은 슈퍼 지구라고 불려요. *용어정리항성계: 여러 항성이 서로의 힘에 이끌려 주변을 일정하게 맴도는 것을 말해요.항성: 아주 ... ...
- [4컷 만화] 세계 최초 ‘로봇 파일럿’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로봇이에요. 연구팀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항공로와 공항 등을 표시한 지도와 항공기 조작 방법, 비상 대응 절차를 담은 자료를 파이봇에 학습시켰어요. 그 결과 파이봇은 비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안전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고, 비상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는 ... ...
- [기획] 칼박자 천재드러머, 드럼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먼저 로봇 밴드가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말했어요. 이어 “베이스나 건반, 기타 등 다양한 악기가 있겠지만 밴드에서 기본이 되는 악기이자 로봇의 움직임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악기가 드럼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로봇이 연주한 드럼은 로봇을 위해 특별히 개조하지 않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미운 오리도 사랑받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비소로 그린 부분을 각각 분리해 그림으로 나타내 봤더니 그림 속 왕의 장신구와 어깨 등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진 것을 발견했어요. 이는 이집트인들이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수정을 계속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람세스 2세의 벽화뿐 아니라 고대 이집트의 귀족층인 메나의 무덤 벽화에서도 ... ...
- [꿀꺽! 수학 한 입] 한 번의 실수도 안 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선수들은 도마를 뛰어넘으면서 ‘손 짚고 뛰어넘기’와 ‘돌기’, ‘돌며 틀기’ 등의 기술을 선보여요. 도마 경기에서는 기술의 어려운 정도를 평가하는 ‘난도 점수’와 연기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실행 점수’를 더해 순위를 결정해요. 착지할 때 지정된 선을 벗어나면 0.1~0.3점이 감점되기도 ... ...
- [특집] 진실 혹은 거짓, 아인슈타인의 실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데 도움을 주게 된 거죠. 중앙대학교 물리학과 강궁원 교수는 “블랙홀과 중력파 등 과거의 상상력이 남긴 예측이 최근 들어 밝혀지고 있듯이, 틀리더라도 가능성에 대해서 무한한 상상을 해보는 일이 모든 발견의 시초”라며 “과학이란 실수와 수정을 통해 발전해 나가는 학문”이라고 ... ...
- [기획] 그래미 수상 가능! 인공지능 음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발생할 수 있지요. 한편, 커버곡은 원곡을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곡가, 작사가 등 권리자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Q 작권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을까요?19세기 사진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도 사진의 저작권을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사람들은 해결 방법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 나 '본캐와 부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신금초 교사). 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 ...
- [출동!슈퍼M] 3할 5푼 6리가 무슨 뜻이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슈퍼M이 알려주세요~! 야구에 숨은 ‘비율’야구 경기를 보면 승률, 타율, 방어율 등의 단어를 쉽게 들을 수 있어요. 이 단어들은 모두 ‘비율’을 나타내지요. 비율이란, 기준이 되는 양에 대한 비교하는 양의 크기를 분수나 소수로 나타낸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3학년 2반 학생 전체가 25명이고,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