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d라이브러리
"
소모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1973년의 제1차, 78년의 제2차 석유파동 이후 석유고갈 후의 대량
소모
를 감당할 수 있는 석유 대체에너지 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개발대상 에너지로는 원자력 · 타르샌드 · 오일셰일 · 태양열 · 태양광 · 수력 · 지열 · 풍력 · 해양에너지 등 다양하다 해안침식으로 돌출된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소행성의 뒤꽁무니에 붙어 착륙하는 방법은 무엇일까.바로 달의 인력을 이용해 연료의
소모
없이 1백80도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구와 달과의 거리는 약 38만km. 작업 시간은 실제로 여섯시간밖에 주어지지 않는다.소행성 충돌 이후 스토리사실적 묘사 vs 억지 영웅 만들기 ▶▶▶ 소행성 1999AN10이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로스앤젤레스의 전력난이 있었다.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전력
소모
의 18% 이상을 차지하는 조명을 LED로 교체하는 것이다. 백색 LED는 적색·녹색·청색 LED를 조합하거나, 청색이나 자외선 LED를 이용해 형광물질을 빛나게 하면 제작할 수 있다. 현재 백색 LED는 개발이 거의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 없을 만큼 효율적으로 돌아간다. 일개미와 같은 개체는 생태계 안에서 생존경쟁에
소모
되는 에너지를 생산에 쏟아부을 수 있다. 그러나 최대의 단점은 여왕이 죽음과 함께 모든 것이 끝장난다는 것이다. 그런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매트릭스는 개미들처럼 자신의 군집을 여러 곳에 퍼트려야 할 ... ...
2. 책상 위에서 사용하는 슈퍼컴퓨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문제가 없다. 이러한 작동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가볍고 전력
소모
도 적절한 냉각기를 구입해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신뢰할 만한 조셉슨 접합기술이 아직 연구 단계에 있어 논리회로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초전도 기술을 사용해 테라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약 6%를 차지한다. 선수들에 비해 순간적으로 뛰는 경우는 적을지라도 상당한 체력을
소모
해야 한다.7 골키퍼가 페널티킥을 막을 수 있을까손짓에 고함치는 이유는 의사소통경기중 잘 보이지 않는 선수다. 잘하는 팀이라면 더더욱 안보인다. 그런데 항상 결정적인 순간에 눈에 띈다. 다양한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천천히 움직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도 많은 시간을 천천히 움직이거나 쉬면서 에너지
소모
를 최소화하면서 먹이감이 나타나기만을 기다렸을 것이다.한편 이들 타조 공룡은 자신들의 천적인 알버토사우루스와 같은 거대한 몸집의 육식공룡들의 공격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 ...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심장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말이야 쉽지 현재의 엔진기술로는 당장 발등에 붙은 불을 끌 수 없다. 최적으로 연료를
소모
하도록 하는 새로운 엔진 기술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엔진의 안에서 일어나는 열유체 현상을 규명해야 하고, 더 나은 기계시스템 개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KAIST 기계공학과 배충식 교수가 이끄는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중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중량급인 F-15K는 가속도를 붙이는데, 경량급인 라팔은 연료
소모
를 줄이는데 유리하다.F-15K의 기체는 중량감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탄탄한 느낌을 준다. 커다란 주날개가 45˚각을 이루며 약간 뒤쪽을 향하고 있다. 이처럼 뒤로 각을 준 날개를 후퇴날개라 부른다.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무질서하게 수축되는 현상이다. 때문에 외부에 일을 해주지 않아서 근육이 수축할 때
소모
되는 에너지가 모두 열로 방출되므로 효과적인 열생산 수단이 된다.반면에 뇌의 혈액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체온이 올라간 것으로 간주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땀을 흘리도록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