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자력발전소"(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공 양자강에 1300만㎾의 발전소 건설과학동아 l1986년 08호
- 원자력발전소 건설에도 힘을 쏟고 있었으나 올해 4월초 서독과 교섭중이던 1백만kw의 원자력발전소 계획을 돌연 포기했다. 세계 각국은 삼협댐 계획이 이윽고 실현 단계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라 관측하고 있다.이 계획은 댐 높이 2백10m, 저수량 7백억㎥, 총발전량 1천3백만kw(원자력발전소 13개분 상당 ... ...
- 대지가 오염으로 앓고 있다과학동아 l1986년 08호
- 오염원이다. 그외에 수은전지와 같은 고형물질의 쓰레기 또는 최근의 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의 폭발사고에 의한 방사능 물질의 확산과 축적 등으로 대략 5가지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지면관계로 3가지의 오염원 즉 살균·살충제(농약), 중금속 및 산성비에 관한 것만 알아보기로 한다. ... ...
- 화상회의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86년 07호
- 촌각을 다투는 정보전쟁의 시대에서 회의를 하기 위해 며칠씩 시간을 소모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 사무자동화의 새로운 시스템, 회상회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사회활동이 점점 복잡해지고 신속해짐에 따라 업무처리방법에 있어서 회의를 통해서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증가 되어가고 있다. 회의는 ... ...
- 초전도체(超電導体)과학동아 l1986년 07호
-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초전도현상이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핵융합 발전, 입자가속기, MHD 발전 등의 고에너지 산업, 자기부상열차, 자기공명영상장치 뿐 아니라 초고성능 컴퓨터 제조, 전압과 온도 표준 유지 등 그 응용분야는 거의 무한하다. 10여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낳은 초전도체 분야 연구는 이 ...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원자력발전 사상 최악의 사태가 싹트고 있었다. 83년이래 가동을 하고 있는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의 네번째 원자로의 핵심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4월25일 이었다. (다음은 이 사고의 진행과정을 가상해 본 것이다)갑자기 원자로의 우라늄 연료 막대를 식혀주던 냉각수가 돌기를 멈췄다. 뒤에 ... ...
- 잦은 사고와 대중의 반대로 기로에 선 세계의 원전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드리마일 아일랜드와 체르노빌 사고로 전세계 발전량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원전은 중대한 전환점에 서게됐다. 작년 말까지 전세계에서 가동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26개국 3백74기에 이르며 총발전설비량은 2억5천만 KW에 육박한다. 전세계 전력의 15%를 원전이 생산하는 셈이다. 가동중인 원전에 건 ... ...
- 원전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원전의 안전성에 관해 핵산업 옹호자와 비판자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일고 있다. 7가지 주요 질문을 통해 그 논점을 살펴본다.원자력 발전소는 안전한가? 옹호 : 그렇다. 지금까지 얻은 경험을 살려 가장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안전설비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최악의 사고인 멜트다운이 일어날 확 ...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과학동아 l1986년 06호
- 90년대까지 원전은 전체 발전량의 3분의 1 이상 차지할 예정. 그러나 종합적인 안전계획의 부재, 인력부족, 폐기물 처리 등 안전대책의 과제는 산적해 있다.총 발전량의 22% 78년 7월 20일 경남 고리에 원자력 발전소1호기가 준공됨으로써 우리나라는 핵에너지 시대로 접어들었다. 현재 가동중인 ...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과학동아 l1986년 06호
- 1백50렘이라는 위험수준에 달하게 된다. 일상생활 속의 방사선 우리가 받는 방사선은 원자력발전소나 핵실험 같은 인공적인 것 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것도 있다. 지구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과 토양과 암석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칼륨41 탄소14의 방사선의 영향을 피할 ... ...
-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과학동아 l1986년 06호
- 과학자들은 수학적 확률을 내세워 원전의 안전을 주장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사소한 인간적 실수로 대형참사는 계속 빚어지고 있다.미국 원자력에너지위원회의 용역을 받은 '라스무센'은 1974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관한 보고서에서 노심용융(멜트다운, Melt Down)이 일어날 확률은 1만7천년에 ... ...
이전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