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전
d라이브러리
"
원자력발전소
"(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과학자들은 수학적 확률을 내세워 원전의 안전을 주장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사소한 인간적 실수로 대형참사는 계속 빚어지고 있다.미국 원자력에너지위원회의 용역을 받은 '라스무센'은 1974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관한 보고서에서 노심용융(멜트다운, Melt Down)이 일어날 확률은 1만7천년에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체르노빌 사고 후 처음 방사능을 검출했던 포스마크원전은 '생물시험인공호'를 갖추는 등 독특한 안전설비로 유명하다. 원자력 발전의 비율이 40%가 넘으면서도 국민투표를 통해 모든 원전을 2010년까지 폐기하기로 한 스웨덴의 원전 안전대책을 포스마크를 통해 알아본다.지난 4월 28일 오전 9시 ... ...
원자력 발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7천만kW의 전력을 생산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7월에 58만 7천KW 용량의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가동, 총발전량의 약6%를 차지했으나 83년에 준공된 67만 8천 7백kW의 월성 3호기의 가동으로 원자력 발전 비율은 약 10% 수준이 되었고, 86년까지는 6기가 4백 76만 6천kW를 발전하여 ... ...
해양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무서운 위력으로 인류를 재난에 빠뜨리곤 했던 해양이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한한 에너지의 보고로 바뀌고 있다.지구표면의 3분의2 이상을 차지하는 해양은 조석(潮汐) 해류 파랑(波浪) 등의 형태로 방대한 양의 에너지를 간직하고 있어, 최근 이러한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해지 ... ...
케이블 TV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있는 특파원들은 세계의 핵전문가들을 동원 원격좌담회를 개최하기도 하며, 국내의
원자력발전소
엔지니어들이 등장, 사고원인을 규명하는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또한 평소 핵문제에 별 관심이 없었던 일반인들도 TV대담프로에 등장, 핵의 위험성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소박한 견해를 밝힌다. 또한 ... ...
핵발전소 인기 떨어져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한때 석탄이나 기름을 때는 화력발전소에 비해 건설 기간은 많이 소요되지만 발전단가가 싸다고해서 인기있던 핵발전소가 최근 계속 인기를 잃어가고 있다. 이유인즉 해가 갈수록 일반 화력발전소 건설보다 직접 건설비(노임과 자재비)가 많이 들고 또 하나는 '드리마일'사고이후 안전문제가 자꾸 ... ...
바다위에 해상도시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얕은 바다를 매립하여 공장용지로 조성하는 방식외에도 외해측에 인공섬을 구축하여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정유공장 등의 플랜트를 건설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해중공원 마리너 해수욕장등은 해양공간을 레크리에이션의 장소로서 해저석유 해저광물자원 수산자원의 조달, 해양공간의 ... ...
세계의 핵 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위축되었으나 80년대에 들어와 다시 활발해졌다. 현재 세계에는 23개국에 2백67기의
원자력발전소
가 있으며 전력생산량은 1억7천만kW에 이른다. 그러나 이 핵발전분야에도 안정성문제 핵폐기물처리문제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우주의 에너지를 해방핵력은 우주의 모든 핵물질의 움직임을 ... ...
정비불량으로 밝혀진 원자로3호기 사고원인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최악의 사태인 핵연료의 용융과 연속적인 방사능 유출로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원자력발전소
의 안전성을 우려하는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있다.지난 11월22일 한국에너지연구소에서 '원전 안전규제 및 안전성확보'라는 주제로 개최된 웍샵에서 원자력안전센터의 김진수 실장이 밝힌 ... ...
'에너지와 정보산업 가장 시급'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김영식: 국회일정으로 바쁘셨죠? 과학기술처 내에도 일이 많이 밀려있을줄로 아는데 이렇게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즈음 '과학기술'이란 말은 학자 뿐만 아니라 기업인, 공무원 그리고 일반인들에 까지도 익숙한 말이 되고 있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는 의외로 적어 보입니다. ... ...
이전
43
44
45
46
47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