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뉴스
"
안
"(으)로 총 10,4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아무도 알지 못했던 미지의 연구 분야를 낳고 노벨상을 낸다. 이런
안
목은 마치 예술의
안
목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 이후 가장 많이 달라진 게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과학상을 여럿 받았는데 대중조차 나를 알아보는 것은 노벨상이 유일했다”라며 “그런데 (연구) 시간은 많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연결된 강자성체 층의 극성이 외부 신호(전류 방향)의 변화가 없을 때 바뀌면
안
된다. 그런데 소자를 작게 만들면 열적 잡음(thermal noise)으로도 극성이 바뀌게 된다. 그 결과 비트의 값이 정해져 있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저자들은 이를 ‘확률적 비트(probabilistic bit)’로 불리는 피비트(p-bit)라고 부른다 ... ...
위험률 99.9% 치매 유전자 갖고도 치매 피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가졌던 경우가 없었다. 조셉 아볼레다벨라스케즈 하버드대 의대 셰픈스눈연구소
안
과 교수는 "ApoE3/ApoE3는 특정 당(HSPG)과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방해한다"며 "뇌에서 타우 단백질이 쌓이도록 하는 HSPG을 방해하는 덕분에 A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많이 축적되고도 치매 증상이 ... ...
[과학촌평]글로벌 전쟁 일어난 양자기술, 한국은 집
안
싸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지지하기는 힘든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어찌 보면 글로벌 경쟁에 뒤쳐져 '우물
안
개구리'였던 한국의 어쩔 수 없는 한계였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제는 이 분야의 현주소가 정확히 드러났다. 누가 기술의 주도관을 지닌 '선수'인지, 선진국들이 어느 분야에 얼마나 투자를 늘리는지도 분명해졌다. ... ...
"의료정보·유전체 정보기술 국제표준 선점" 신규표준
안
제
안
연합뉴스
l
2019.11.04
기술을 직접 국제표준화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한국이 제
안
한 표준은 스마트헬스케어 시장에서 국내 산업의 해외 진출을 가속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해야 했어요. 아마 우리를 보낸 인공위성연구센터(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도 기대는
안
했을 겁니다. 그래도 우리가 한국 위성 개발의 최일선이라고 생각하고 모든 것을 배우려 노력했고, 마침내 3년 뒤인 1992년 우리나라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우리별 ... ...
그래핀 전기적 성질 높일 '질소도핑'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UNIST 제공 백 교수팀은 이 기술로 실온보다 살짝 높은 40도의 온도에서 1기압이 채
안
되는 1바의 압력에서 기존보다 월등히 높은 16%의 질소를 그래핀에 도핑하는 데 성공했다. 백 교수는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 간단한 공정으로 질소가 포함된 탄소체를 만들어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경제성이 ... ...
'알약 몇 개만 꿀꺽' 몸 속에서 병 찾아 공격하는 로봇의료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캡슐내시경을 움직이려면 외부 전자기장을 활용해야만 한다. 김 교수는 “의료기기로써
안
전성과 성능을 확보하는 것도 어려웠다”며 “동물 소화기관 모델 및 동물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말했다. 다양한 캡슐내시경은 모델 실험과 동물 실험 등을 통해 기술을 ... ...
[프리미엄리포트] 다시 돌아온 터미네이터 과학으로 엿보기
과학동아
l
2019.11.02
‘불사신’이다. 그리고 Rev-9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자기복제도 가능하다. 1초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로봇이 분열해 2개의 로봇이 되고, 이렇게 탄생한 복제 로봇은 원래 로봇과 똑같은 크기와 모양을 하고 있지만,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소병록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로봇그룹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자신에게는 사람들을 비난하고 다닐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듯 보이기도 한다. 마음에
안
드는 행동을 했으니까 비난받는 게 마땅하지 않냐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그 말은 그대로 본인한테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논리대로라면 모든 면에서 완벽한 신 같은 존재가 아닌 한 자신도 누군가에게 똑같이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