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12월10일 안창남이 금강호를 타고 남산과 창덕궁 등 서울 상공을 비행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
의 창공인'이 됐다.세계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항공기 개발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조종사 숫자가 양적으로 팽창했으며 비행술 측면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 ...
컬러인쇄 가능한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기존 글씨체 외에 「파도체」라는 독특한 글자꼴이 지원된다.
최초
의 그래픽워드프로세서 '사임당'을 발표해 관심을 모았던 한컴퓨터연구소가 최근 기능이 향상된 1.5버전을 내놓았다. 사임당 1.5판은 △컬러지원기능 △새로운 글자꼴 '파도체'지원 △주소록기능 △다른 워드프로세서와의 호환성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래픽 기술은 수술에서 시행착오를 최대한으로 줄이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의
최초
고안자는 방사선 학자인 마이클 배니어다. 그리고 제프리 마시의 도움으로 뼈에 근육과 피부를 입히는 소프트웨어가 개 발되었다.CAD/CAM(컴퓨터 이용 설계 및 생산) 기술이 인간의 신체에도 적용된 것이다.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뒤 1967년 12월 3일 남아프리카의 심장외과의사 크리스티안 버나드는 54세난 환자에게 사상
최초
로 뇌사(腦死)한 젊은 사람의 심장을 이식했다. 이 환자는 수술 뒤 18일 동안 생존하다가 그람음성균에 의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당시 버나드의 심장이식은 수술 자체와 뇌사에 관련된 많은 논란을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크반트, 연료와 식량 등 각종 물자를 실어 나르는 무인 보급선 프로그레스가 도킹해
최초
의 4모듈 우주정거장의 모습을 갖추기도 했다.미르에는 항상 선장과 기술비행사 두명의 승무원이 상주하며 이들은 보통 4~6개월만에 교대된다. 클리칼료프가 작년 봄 우주비행사로는 최고의 영예라 할 수 있는 ... ...
1백만엔짜리 하이비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말 일본에서는 세계
최초
로 21세기 TV라 불리는 HDTV(일본명 하이비전)가 선보여 하루 8시간 방송을 계속하고 있다. 오는 7월25일부터는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방송할 예정이어서 벌써부터 시청자들의 마음을 들뜨게 하고 있다.그러나 한대당 3백50~4백만엔(약2천만원)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가격이 암초로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시나리오도 등장과학자들은 1856년 독일의 네안델 계곡의 한 동굴에서 그 두개골 일부가
최초
로 발견된 이래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계속 논쟁을 해 오고 있다. 이 논쟁의 최근 양상은 1980년대 중반 유전학자들이, 현생인류는 처음 아프리카에서 시작됐으며 점차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고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수 있게 되었다. 공상과학소설에서나 이루어질 일들이 벌어지기 시작한 것이다.인류
최초
의 자동보행기를 만든 사람은 통계학에서 체비셰프의 부등식으로 유명한 수학자 체비셰프였다. 그러나 그것은 손가락 높이의 문턱도 넘지 못하는 장난감에 불과했다. 자동보행장치에 가장 눈을 반짝인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보관돼 있는 경은 알려진 대로 고려 고종때(1236-1251년) 만들어진 재조(再造)판이다.
최초
의 대장경은 그보다 앞선 현종때 만들어졌으나 몽고군의 방화로 불타 없어지고 말았다. 고려인들이 무려 두 번에 걸쳐 대장경을 만들어 내면서까지 불경제작에 몰두했던 이유는 말할 것도 없이 잦은 외침을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의자가 날아다니는 대서양에서의 마지막 밤을 추억으로 간직하게 되었다.국내
최초
로 도입된 첨단연구장비의 운용을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동승한 외국의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숙의해도 좀처럼 풀리지 않는 문제들이 발생했다. 그러나 일반 상선이 약 3년에 걸쳐 할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