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수준따라 음악카드 다양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곡 데이터를 악보로 표기하고 한글 가사를 삽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국내 최초의 한글 미디음악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전문가가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계속 기능이 향상되고 있으므로 곧 완성 단계에 이르리라 생각된다.현재 옥소리를 이용한 국민학교 음악교과서의 ... ...
- 국내에서도 태양광발전은 활기띠어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천년대나 돼야 이런 고효율 규소 태양전지를 구입하게 될 것이다."미국 RCA가 1954년에 세계최초로 개발한 규소태양전지는 가격이 1W당 3백50달러나 돼 그 쓰임새가 자연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1W당 5달러 이하로 떨어졌다"라고 금오공대 최병호교수(재료공학)는 설명한다 ...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시나리오도 등장과학자들은 1856년 독일의 네안델 계곡의 한 동굴에서 그 두개골 일부가 최초로 발견된 이래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계속 논쟁을 해 오고 있다. 이 논쟁의 최근 양상은 1980년대 중반 유전학자들이, 현생인류는 처음 아프리카에서 시작됐으며 점차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고 ... ...
- 「고삐 풀린 망아지」 옛소련 핵무기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의 열쇠다. 옛 소련 전략핵무기의 경우는 약 12개의 열쇠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의 열쇠(제1버튼)는 소련 소멸과 더불어 고르비에게서 옐친으로 넘겨졌다. 까만 가방에 들어있는 암호박스가 바로 제1버튼인 셈이다. 두번째의 열쇠는 국방장관이 가지고 있다. 이후에는 점차 계급순으로 ... ...
- 암컷은 타고난 전략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큰 영향을 주기때문에, 암컷은 이 일에 무관심할 수가 없다. 연구에 따르면 수컷은 최초로 알을 부화시킨 암컷의 새끼에게만 먹이를 날라다 준다. 이 암컷을 가령 '제1부인'이라고하면 '제2부인'의 기분은 썩 좋지는 않을 것이다.제2부인은 과격한 수단을 동원, 제1부인의 새끼를 쪼아 죽여버린다. 제 ...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수행했다. 돌이켜보면 원자력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집단적으로 순수과학 연구가 최초로 시작된 곳이라 할 수 있다.당시에는 원자력이 첨단 과학기술로 각광받던 시기로, 서울 공대에 원자핵공학과가 신설되고 공과대학의 부지 일부를 양여받아 그 옆에 원자력연구소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 ...
- (2) 상식을 벗어난 네가지 특수소재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알려진 것은 1971년이었으나 그것이 왜 액정 성질을 나타내는지는 몰랐다. 액정고분자가 최초로 학술문헌에 소개된 것은 1976년으로서 용융상태의 고분자가 아주 낮은 점도를 나타내는 것이 발견된 후 정밀한 실험에 의해 액정상태인 것이 확인되었다.용매에 녹였을 때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전화선을 통한 모뎀은 초당 9천6백 비트라는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이는 최초의 전송속도에 비해 무려 2백배나 빨라진 결과였다.화약없는 통신전쟁최근 컴퓨터의 발전방향을 보면 발전 방향이 크게 3가지임을 볼 수 있다. 먼저 속도의 획기적인 발전이다. 그 다음은 기계장치 자체의 소형화와 ...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아니라 n개의 문장에 대해서도 똑같이 성립, n-1번째 문장만 옳게 된다. 이 문제는 1969년에 최초로 발표됐는데, 그때는 1969개의 문장을 사용했고 따라서 1968번째 문장만이 옳다는 것이 답이었다. 그런데 이 n을 줄여가다 드디어 한 문장만 남게 되면, "이 문장중 단지 한문장만 거짓이다"가 되는데, ... ...
-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과학동아 l1992년 03호
- butylene terephthalate)PET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대표적인 것으로 1931년 캐로더스가 최초로 합성했으나 그는 이 재료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나일론연구에만 몰두했다. 그후 1941년 영국의 휜필드가 PET를, 독일의 슈락이 PBT를 각각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PET는 ICI와 듀폰이 특허를 양도받아 1948년 생산에 ... ...
이전4684694704714724734744754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