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요리왕' 링링의 꿈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졸업하면 어떻게 할 거야? 아까 들어온 스카우트 제의를 받아들이는 거야? 굉장히 유명한 곳이라면서?”“아까 그것 때문에 생각을 많이 했어. 결국 결정을 내렸는데…. 나, 요리학교 선생님이 될 거야.”링링의 말에 허풍과 도형은 링링을 쳐다봤다.“허풍 선생님처럼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이용해 구할 수 있다고 해요. 또한 지진이 일어났을 때,같은 시간에 지진파가 도착한 세 곳을 선으로 이어 수직 이등분선의 교점으로 진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요.”임윤영 선생님의‘도형 이렇게 공부하자!’수학 공부는 계단을 한 칸씩 올라가는 것과 같아요. 한꺼번에 여러 칸을 오를 수는 ...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188m나 되니 한 바퀴를 돌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햇살은 여전히 뜨거웠지만 이곳에서 응원하던로마인을 상상하며 콜로세움을 한 바퀴 돌았다.아치로 세운 콜로세움 콜로세움이 세워진 당시, 로마인들은 지중해 연안을 정복하면서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런데 그리스에서는 ... ...
- 보노보도 친구가 소중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 이렇게 말이죠. 제가 높은 소리를 연속으로 5번 내면 다른 보노보들이 키위가 있는 곳 주변을 집중적으로 탐색한답니다. 우리들이 이래 봬도 의리파라니까요.그런데 소리에 따라 동료들의 반응도 다르네요?당연하죠! 사과가 있다는 신호에는 시큰둥하다가도 이렇게 강력한 소리를 들었을 때는 ... ...
-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녹음하고 새들을 불러 볼까요?울음소리로 새를 불러 보자! ❶ 새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곳을 향해 접시마이크를 대고 녹음한다. 녹음할 때는 소음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한다.❷ 녹음한 소리를 스피커로 크게 틀면 소리를 냈던 종의 새들이 주변으로 모여든다. 이 때 망원경을 이용해 새를 관찰한다.❸ ...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말을 듣고 있자니 클래식과 수학이 왠지 닮은 것 같았다. 클래식처럼 수학도 안 쓰이는 곳이 없을 만큼 실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 사람들은수학을 어렵고 재미없는 학문으로 여기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일까. 수학과 음악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공연이 기자에겐 낯설지만은 않았다.추민희 ...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한다고 밝혔다. 예를들어 18명이 단체 사진을 찍을 때, 밝은 곳에서는 적어도 6장, 어두운 곳에서는 9장을 찍어야 한다는뜻이다.연구팀은 카메라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한 사람이라도 눈을 감고 있을 확률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사진을 찍을 때 사람들은 1분에 평균 10번 눈을 깜박인다. 이때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그림①과 같이 수직으로 빛을 비추면 원 모양의 그림자가, 그림②처럼 구보다 높은 곳에서 빛을 비스듬히 비추면 타원 모양의 그림자가 생긴다. 또 그림③과 같이 구의 높이에서 빛을 비스듬히 비추면 포물선 모양의 그림자가 생기고, 그림④와 같이 구의 중심과 같은 높이에서 빛을 옆으로 비추면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검출기까지 도착한 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두 곳의 시계가 정확히 맞춰져 있어야 한다. 두 곳에서 사용한 시계는 높은 정밀도를 가진 세슘 원자시계다. 시간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GPS를 이용한 정밀한 기술이 동원됐다. 보통 GPS를 이용한 시간 측정에는 4~5개의 GPS 위성을 사용하지만, 절대시간을 ...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급조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결국 ‘실험을 통해 얻은 이론과 물리법칙은 우주의 어느 곳에서도 같다’는 원리만으로는 우주의 가속팽창을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시인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의 노벨물리학상은 지식을 확장시키며 인류 진보에 기념비를 세운 업적에 돌아갔다. 하지만 2011년 ... ...
이전4684694704714724734744754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