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국해양연구원과 과학동아가 주최한 열대해양체험단은 8월 20일부터 29일까지 마이크로네시아의 ‘축’ 주에 있는 한·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를 방문해 ... 깊이 빠져 있었지만, 떠나는 순간까지 다시금 탄성을 지르게 만드는 아름다움이었다. 이
곳
이 영원히 아름답고 행복했으면 좋겠다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온도와 습도를 견뎌내는 시험을 했다. 그리고 진흙길, 모래사장, 풀숲 등 다양한
곳
을 무리 없이 다닐 수 있는지를 봤다. 하염없이 내리는 빗물에도 견딜 수 있는지 시험했다. 천궁은 어떠한 혹독한 환경도 견뎠다.사격시험도 무사히 통과했다. 2008년부터 실제 전투기에 준하는 속도를 가진 표적기를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버려야 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은하가 존재하는
곳
은 골짜기처럼 시공간이 휘어진다. 그런데 양자역학에서는 서로 다른 파동을 더할 수 있다고 본다. 시공간을 더할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남은 문제 우주 이해는 이제 ... ...
새로운 일가를 이룬 이탈리아참새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과거에 스페인참새와 집참새가 교미해 태어난 후손이 우연히 지리적으로 차단된
곳
으로 날아와 오랜 시간에 걸쳐 독자적인 종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했다. 새롭게 종이 진화하기 위해선 독자적인 번식 과정을 형성할 시간이 충분해야 하며, 지리적으로 차단돼 있어야 한다.윌리엄 아모스 영국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월 15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에서 200광년 떨어진
곳
에서 두 개의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은 ‘케플러-16b’로 이름 붙었다. NASA는 “확실히 두 별을 동시에 공전하는 행성을 처음 발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이 행성에서는 영화 스타워즈에서 루크 스카이워커가 ... ...
직접 만드는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슝’하고 높은
곳
에서 떨어지자 “끼아악~!”하는 비명 소리가 난다. 짜릿함을 선사하는 롤러코스터는 놀이공원에서 최고 인기스타다. 놀이공원마다 더 스릴 넘치고, 더 재미있는 롤러코스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해마다 세계 최고의 롤러코스터를 선발하는 대회까지 있을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
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하지만 전혀 해가 없다는 사실을 직접 경험하고는 안심을 하고 이내 경계심을 푼다. 송
곳
같은 포도박각시 애벌레 돌기를 장난감처럼 만지고 손위에 올려놓고 스멀스멀 기어 다니는 애벌레들의 움직임을 즐긴다. 암청색줄무늬밤나방이 경계하듯 몸을 흔들어대며 자신을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며 ... ...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월, 갑자기 땅이 무너지면서 과테말라시 한가운데 20층 건물 높이만 한 구멍이 생겼다. 그
곳
에 있었던 3층 건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정부는 도시 개발로 지하수가 말라 지반이 무너져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과테말라시에서는 2007년 4월에도 깊이가 100m나 되는 구멍이 생기면서 20여 채의 집이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들어 있어. 과연 어떤 과학 법칙이 들어 있는지 살펴볼까?애니메이션의 법칙 1.높은
곳
에서 굴러오는 수레는 점점 빨라진다높은 언덕에서 굴러오는 수레는 중력을 받아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 바로 뉴턴의 가속도의 법칙 때문! 이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도 아래로 내려오거나 떨어지는 물체는 점점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리고 다양한 개체를 보존하기 위해서 민물고기의 생태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해요. 이
곳
에서는 물고기들이 먹는 사료를 개발하기도 하고, 민물고기의 생존율을 높여 개체를 늘리기 위한 연구도 한답니다. 인공수정도 그 중 하나죠. 지금부터 명예기자 친구들이 직접 칼납자루의인공수정을 도와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