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 쥐도 암컷 유혹하려 세레나데 부른다
2015.04.01
유혹하기 위해 세레나데를 부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에리치 자르비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수컷 쥐가 내는 소리가 특정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개체와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첨단 행동 뇌과학(Frontier of Behavior Neuroscience)’ 1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그래서 마치 자석에 끌려가듯 히스타민이 있는 진피층 근처로 이동한답니다. 그럼 자유
신경
종말은 히스타민에 의해 자극을 받고 되고, 이 자극은 척수를 따라 뇌에서 감각을 처리하는 대뇌피질(두정엽)에 전달돼요. 대뇌피질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고, 긁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지요. ... ...
20대 퇴행성 관절염 증가, 女가 男보다 많은 이유는…여성 호르몬 때문?
동아닷컴
l
2015.03.30
차이가 있다. 오리건주립대학교의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근육은 여성의 근육보다
신경
자극에 빨리 반응할 수 있다. 여성의 근육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순간 재빨리 반응하기가 어렵다는 것. 또 점프 후 착지하는 동작에서 여성은 두 발끝이 안쪽으로 향하는 안짱다리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자극을 느끼는 위치의 변화가 고통을 지각하는 뇌
신경
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다. 패트릭 해거드 런던대 교수는 “만성적인 통증을 느끼는 환자들 중 많은 경우는 의료진의 예상보다 더 큰 통증을 호소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적절한 부위에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단백질이 조금씩 서서히 풀어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윤 교수는 “스네어 단백질은
신경
세포 사이의 통신과 인슐린 분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알츠하이머나 당뇨병 등의 질환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 ...
우리 아이 ADHD 원인은 임신부 때 마신 미세먼지?
2015.03.26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임신 중 PAH에 노출되면 아이의
신경
발달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찍은 아동의 뇌 MRI사진. PAH에 노출된 산모의 아이는 자뇌 백색질의 표면 넓이가 현저히 감소한다. - LA아동병원 사반연구소 제공 구체적으로 3세 경엔 ... ...
낮잠 45분 자면 기억력 5배 향상 된다! 뇌가 새롭게 배운 정보를 정리
동아닷컴
l
2015.03.24
것도 기억력 향상에는 도움이 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학습과 기억의
신경
생물학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한편 작년 미국 텍사스 베일러 대학 연구진도 약 90분의 낮잠이 청소년의 기억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 ... ...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대기업에 맡겨두면 알아서 열심히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정부는 중소기업과 벤처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중소기업의 벤처 생태계를 건전하게 바꾸고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뒷받침을 해줘야 합니다.” ― 과학기술이 이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 ...
손목에 차기만 하면… 자기장-음파로 암세포 제거
동아일보
l
2015.03.20
있어 손목 밴드에서 자기장을 형성하면 암세포를 끌고 밴드로 모이게 된다. 구글 측은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린 사람이 이 기기를 손목에 차면 발사된 자기장이 파킨슨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성질을 변형시켜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암세포를 ... ...
뇌 연구 통합해 ‘뇌 백과’ 만든다
2015.03.19
뇌과학자 서배스천 승 교수가 진행하는 ‘커넥톰’ 프로젝트처럼 나노 수준의 3차원
신경
망 구조 지도를 그리는 작업을 비롯해 분자적 연구와 구조적 연구 등 각각의 뇌 연구를 통합하려는 것이다. 뇌 백과 융합클러스터는 ‘멀티스케일 커넥톰’ ‘기능 네트워크’ ‘시냅톰’ ‘바이오 마커’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