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위해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며 “TNT 멤브레인은 암전이 연구뿐 아니라 줄기세포,
신경
세포를 연구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8일자 속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환절기 대사 촉진 식품 6가지, 적당량의 커피도 도움
동아닷컴
l
2015.03.12
물질이다. 과도한 식욕을 억제하는 효능도 있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 성분은 중추
신경
계를 자극한다. 연구에 따르면 커피 한잔은 신진대사를 5~8%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초에 들어있는 산 성분은 유전자에 신호를 보내 지방을 태우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정제 탄수화물을 섭취한 ... ...
영화 ‘인셉션’처럼, 쥐에 인공 기억 이식
2015.03.10
선호하게 만들면 잠에서 깨어난 뒤에도 그 장소를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신경
과학(Nature Neuroscience)’ 9일자에 발표했다. 우리가 장소를 인식하는 것은 뇌에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인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가 각 장소마다 다르게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장소세포를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시험법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즉 당시는 급성독성과 발암성 여부에만
신경
을 썼기 때문에 염증이나 비만 같은 애매한 증상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 이는 또 다른 식품첨가물인 인공감미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사람에 대한 임상연구가 진행돼봐야겠지만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이른바 ‘김영란법’이었다. 또 안 되나 싶었는데 오후 5시에 겨우 통과됐다. 너무
신경
을 썼는지 그동안 한 번도 감기몸살로 결근한 적이 없는데 오늘은 감기로 목이 쉬었다.” 그는 경상대 생화학과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다.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방대였지만 제자 한 명이 박사학위 논문을 ... ...
정신분열증에도 ‘사랑 호르몬’이 藥
2015.03.04
’ 4일자에 발표했다. 옥시토신 호르몬은 사랑뿐 아니라 대인관계에 관여하는
신경
회로가 뇌 속에 형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때문에 옥시토신 부족으로 나타나는 자폐증과 조현병을 고치기 위해 주사를 통해 뇌 안으로 호르몬을 주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됐지만 뇌 척수액과 혈액을 분리하는 ... ...
알츠하이머성 치매, 20대부터 시작
2015.03.02
부위(전뇌기저부)에 있는 콜린성 뇌세포들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콜린성 뇌세포는
신경
전달물질을 분비하며 기억력과 주의력을 담당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거나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렸을 때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 연구진은 이미 사망한 시체 40구의 뇌를 검사했다. 그 중 13명은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판단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뜻이다. 지브 윌리엄스 하버드대 의대
신경
외과 교수는 “원숭이 뇌를 자극할 때 사용한 기술은 최근 우울증과 강박장애 치료에 활용되는 것과 매우 유사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자폐증이나 반사회적 인격 장애 치료법 마련에도 도움을 줄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과정에서는 찾을 수 없는 유전자 56개를 확인했다. 그 다음 연구팀은 56개의 유전자 중 뇌
신경
줄기세포가 신피질로 많이 분화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 ‘ARHGAP11B’를 최종적으로 찾아냈다. 이 유전자를 가진 동물은 오직 인간뿐으로 쥐는 물론 쥐는 인간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 ...
스트레스 유발요인 6가지… 너저분한 공간, 산만하게 만든다
동아닷컴
l
2015.02.27
최대한 정돈하고 지내는 게 바람직하다. 두번째는
신경
질적인 동료의 존재다. 주변에
신경
이 예민한 동료가 있으면 자신도 그와 비슷한 행동을 하게 된다. 동료의 예민함이 자신에게 전이되기 때문으로 이렇게 되면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세번째는 소셜미디어에서 지나치게 사교적인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