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신재생에너지원을 융합하는 연구를 하려면 기지를 더 넓혀야 했죠. 더구나 2005년에
발견
된 용천동굴이 기지 지하에 펼쳐져 있어 센터를 옮길 수밖에 없었습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기술연) 글로벌신재생에너지기술연구센터의 박순철 센터장은 자동차로 5분가량 떨어진 새 ... ...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모른다. 과학자들은 사회적인 사람일수록 동료보다 더 큰 편도체를 갖는 것을
발견
했다. 페이스북 친구가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면적대비 두뇌에 더 많은 회백질이 있다. 감정과 관련 있는 뇌부위인 편도체가 큰 사람은 온라인뿐만 아니라 실제 세상에서도 친구가 더 많은 경향이 있다. ... ...
고대 바다의 포식자 화석
발견
!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포식자로 알려진 ‘아노말로카리디드’의 화석이 모로코 남동부에 있는 한 바위에서
발견
됐어요. 아노말로카리디드는 약 5억 년 전에 출현해 3000만 년 전까지 지구에 살았던 바다 생물이에요.얼핏 보기에는 새우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다리에 뾰족한 가시가 달려 있고,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을 ... ...
나이는 6살인데 몸은 아가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나타났다. 1976년부터 8년간 ‘가슴이 지나치게 일찍 발달한’ 여자어린이가 482명이나
발견
된 것이다. 그중 60%는 만 2세 이전에 이미 2차성징이 나타났다. 당시 그 지역 의사들은 그곳에서 생산되는 소고기와 닭고기, 우유에 원인이 있다고 보고 섭취하지 않도록 처방을 내렸다. 그 결과 2~6개월 이내에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원시적인 형태로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 동물 3종의
발견
으로 이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는 빗나갔지만 수소가설 자체는 여전히 유력한 진핵생물의 진화 시나리오로 남아있다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끌었다. 늘 하던 수업이 아니라 새롭고 즐거운 수업을 하면 학생들의 다른 면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학생들이 과학을 즐길 수 있다.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떤가?현재 2학년에게 설문조사를 해보니 약 87.2%가 보통 이상 만족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 중에서도 ... ...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할 수가 없어.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이야.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여기 말고도 화석을
발견
할 수 있는 곳이 매우 많다고 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이번 주말에는 가족들과 화석 탐사를 떠나는 건 어떨까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오히려 더 크게 그려졌다는 점이다.여기에서 동양화의 또다른 특징인‘역원근법’을
발견
할 수 있다. 단순히 거리와 크기를 비교해 원근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부각시키고 싶은 내용을 더 크게 그리는 것이다. 신윤복 그림 속 수학신윤복은 김홍도와 동시대에 활동한 풍속화가이지만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도구로 사용하던 석기시대 인류는 불을 피우고 난 자리의 흙과 돌에서 녹아 나온 금속을
발견
하게 된다. 그것을 보고 불을 이용해 구리나 철 같은 금속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금속으로도 신발을 만들게 되었다. 하지만 금속 신발은 실제 생활보다는 왕과 귀족들의 지위를 나타내는 장신구로 쓰였다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수학의 달인>은 비전문가가 만든 교재다 보니 문제의 오류가 가끔
발견
됩니다. 뒤늦게
발견
하는 오류와 수정사항은 수업시간마다 전하고 있어요. 조금 부족하지만 학생들 스스로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아주 대견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수학 공부의 완성은‘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는 것’이라고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