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질환 유전자’ 예방하는 초록 샐러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꾸준히 먹을 경우, 이 유전자가 없는 사람보다 심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
했다. 연구팀은 채소와 과일 속 성분이 9p21유전자가 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유전적으로 병에 취약한 사람이라도 올바른 식습관으로 건강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는 얘기다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온전한 뼈는 재료를 섞거나 꺼내 쓸 때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이번에
발견
된 고대화장품은 지난 10월 14일부터 케이프타운에 있는 이지코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 ...
당연한 소재, 새로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활동을 한다면 여러 연구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당연함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발견
학생들은 자고 일어나면 몸이 무겁다고 합니다. 그러다 점심시간이 되면 몸이 가벼워져서 학교식당으로 번개처럼 뛸 수 있습니다. 대사활동으로 인해 에너지가 소모돼 몸무게가 감소하기도 하고, 음식물 섭취로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덜 활성화됐으며 우뇌의 안와전두엽피질은 일반인보다 훨씬 강하게 활성화된 것을
발견
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측 안와전두엽피질이 ‘처벌’에 더 강하게 반응을 보이는 반면, 좌측 안와전두엽피질은 ‘보상’에 강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뇌회로 구조는 왜 ... ...
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찾았다.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다. 4파트에서는 SF작가가 꽁트로 각색한 타임머신의
발견
순간을 소개한다. 아인슈타인과 함께 시공간을 여행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932년 미국의 물리학자 칼 앤더슨은 실제로 우주에서 날아온 전자의 반입자(양전자)를
발견
했다. (과학동아 2011년 6월호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기사 참조).존 휠러 프린스턴대 교수는 반입자를 이용하면 과거로 여행하는 전자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훨러는 우주의 모든 전자가 시간의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깜깜한 밤 곤히 자고 있던 사람들이 킁킁 거리며 하나둘씩 깨어난다. 갑자기 저절로 쏟아지는 눈물에 놀라 깨는 사람들도 있다. 눈과 코 ...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움직임이 각기 달라 만유인력의 법칙처럼 지진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완전한 법칙을
발견
하기 어렵다는 얘깁니다.다만 이번 사건에서 문제가 될 만 한 점은 6개월 전부터 약한 지진이 계속되고 있었고 따라서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의 ...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예방의학과 교수는 “핫스팟이 한 군데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250km 밖에서
발견
됐다는 것은 더 많은 핫스팟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비판했다 ... ...
새들도 장래 계획 세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팀은 새들이 다음 날을 위해 개미의 임시 거주지를 기억해 놓는다는 사실을
발견
하고 학술지 ‘행동생태학’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관찰한 코스타리카의 열대 조류는 군대개미가 원정을 떠날 때를 노려 잡아먹고 산다. 군대개미는 집단을 이루어 사냥하는 개미로 세계적으로 약 200여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