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계단도 제대로 못 올라 갈것 같은 모습이거든. 하지만 유능한 내 제자들은 금세 문제점을
발견
하고 하나씩 지적했지.제대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일단 ‘애니메이션의 법칙’부터 알아야겠지? 자연계에 법칙이 있듯, 애니메이션에도 법칙이 있어야 질서가 유지된단다. 포가 이 법칙들을 이해하면 분명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세월이 흘렀음을 보여주듯 흐릿한 벽화와 죽은 이를 기리는 조각 사이를 걷다가 드디어
발견
했다. 바로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의 무덤이다.피보나치는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수 체계인 인도-아라비아 숫자를 유럽에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수학자다. 피사공화국이 강력한 해상국으로 이름을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글자에 배치된 글자 중에 자판에 배치된글자보다 더 자주 쓰이는 글자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한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자판의 각 키가 손가락에 주는 부담을 점수로 계산했다. 각 키마다 손가락의 힘과 자판의 위치에 따라 부담 점수를 다르게 줬는데,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으로 치는 키는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커 교수팀은 대장균 변종 3가지를 대상으로 가위바위보 게임이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한 종류(C)는 콜리신이라는 독소와 그에 대한 해독제를 만든다. 또 다른 종류(R)는 독소는 못만들지만 해독제는 만든다. 나머지 하나(S)는 독소도 해독제도 만들지 못한다. 이들이 경쟁하면 어떤 일이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찾는다) 한 지점에서 폭발로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빛이 계속 빛난다는 사실을
발견
한 것이다. 보통 감마선폭발로 인한 섬광은 빠르면 수 초, 늦어도 수 분이면 사라진다.스위프트의 연구진들은 이 빛이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예측돼 오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별을 집어삼킬 때 일어나는 제트 ... ...
귀금속의 고향은 우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운석의 텅스텐182 비율이 지표의 암석보다 낮다는 사실을 근거로, 현재 지표면에서
발견
할 수 있는 텅스텐은 38억 년 전 운석을 통해 추가 유입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윌볼드 교수는 “오늘날 볼 수 있는 희귀 금속의 대부분은 이 같은 방법으로 생겼다고 추정한다”며 “이 시기 운석이 맨틀 상부의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기생충에 걸린 동물이 이상 행동을 보이는 사례는 심심치 않게
발견
된다. 고양이 기생충인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쥐가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게 된다거나 광견병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이 물을 무서워하게 된다는 게 그 예다.바이러스나 기생충이 행동을 조절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미국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배설물은 애벌레가 살고 있다는 분명한 표식이므로 주의를 기울이면 애벌레를 쉽게
발견
할 수 있다.명주실로 한데 묶여있는 잎들 역시 조사해보아야 한다. 먹이식물의 잎 끝과 끝을 말아 집으로 만들어 그 속에서 애벌레가 편안히 머물면서 생활하는 안전한 피신처이므로 항상 애벌레가 있다고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지폐를 방출했다. 심지어 물리적인 접근 없이 인터넷으로 ATM에 접근하는 방법도
발견
했다. 프리젠테이션에서 기술적 세부사항은 밝히지 않았지만 잭은 두 개의 ATM 제작사와 연락해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보안문제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본고는 미국 MIT에서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신의 연구 주제인 물질 분야에서도 발전이 많았다고 밝혔다. 새로운 물질이 많이
발견
돼 베임 교수가 개정판을 낼 때는 여럿 추가해야 했다. 연구 주제도 훨씬 다양해졌다.“눈부시게 변한 것은 응용 분야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휴대전화 같이 작은 전자시스템이 가능할 거라 생각하지 못했어요.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