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573건 검색되었습니다.
혈흔 사진만 찍으면, 사망시각 10분 만에 확인
2016.06.24
발견된 유리 조각을 분석하면 차량 제조사까지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다. 류종식 KBSI
책임
연구원은 “국과수가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시범 활용하고 있다”며 “과학수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더 많은 표본을 모아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中에서 제일 잘 나가는 ‘스타 과학자’ 10인
2016.06.24
분야에서 활약을 펼치고 있다. 가오차이샤 중국과학원 유전학및발달생물학연구소
책임
연구원은 유전공학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유전자 가위의 최신 버전인 ‘크리스퍼 Cas9’을 이용해 쌀과 밀 등 작물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주목받았다. 푸차오메이 중국과학원 ... ...
“서울에서 규모 6.5 지진 발생하면 사상자 11만 명 발생”
2016.06.23
열린 ‘제8회 국민안전기술포럼’의 발표자로 나선 이희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소방방재청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며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서울에 있는 38만 채에 이르는 건물이 손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지진재해 대비기술 어디까지 왔나’라는 ... ...
오래오래 페이스북 경영하겠다는 저커버그, 주식 99% 기부 약속했는데 어떻게?
동아사이언스
l
2016.06.22
정책 이슈에 목소리를 내거나 특정 정치 세력을 지원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반면 유한
책임
회사는 기업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하고 싶은 사업을 하고 정책 관련 로비를 할 수 있습니다. 신사업에 투자를 하거나 다른 기업과 조인트 벤처를 만들기도 쉽습니다. 저커버그가 자기 하고 싶은 일을 하기 ... ...
초전도자석 둘러싼 ‘韓日 전쟁’ 시작되나
2016.06.21
독점하고 있던 일본 기업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배준한 한국전기연구원 초전도연구센터
책임
연구원팀은 기존 초전도자석 대비 원가를 절반으로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전도냉각형 초전도자석’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전기 저항이 0인 초전도자석은 의료용 MRI는 물론, 자성을 이용해 물질을 ... ...
‘녹조라떼’ 걱정 없이 수돗물 쓸 수 있게 되나
2016.06.20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
연구원팀과 KG케미컬은 현재 정수장에서 사용 중인 녹조 제거제보다 성능이 30% 이상 뛰어난 조류 제거 응집제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조류 제거 응집제는 규소에 수산화알루미늄을 결합시켜 수중에서 ... ...
[단독/프리미엄 리포트] 서해 화력발전소·서울발 초미세먼지 전국으로 퍼져
동아사이언스
l
2016.06.20
한국의 대기 질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는 힘들다. 배리 레퍼 NASA 본원 대기연구 임무 총괄
책임
자는 “ 한국 대기 질을 6주라는 짧은 시간 동안 관측한 것이기 때문에 종합적인 결론에 이르기 위해선 수년 동안 여러 계절에 걸쳐 반복 관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디즈니 악어‧고릴라 하람베 '사람 부주의에 왜 동물이 죽나' 논란
포커스뉴스
l
2016.06.17
했다는 이유로 살해된 사건들이 주목받는 가운데 미국 매체 USA투데이는 16일 '진정한
책임
이 누구에게 있는가', '시설 동물들의 죽음에 경중이 있는가, 그리고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 파고들었다. 해당 외신은 "소셜미디어에 아이를 잃은 부모에 대한 애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악어가 ... ...
내년부터 軍 발칸포 사격훈련, 컴퓨터로 평가한다
2016.06.16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보기술개발단 소속 박민철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책임
연구원 팀은 국방부와 공동으로 발칸포 사격훈련 중 사수(射手)가 모의표적을 얼마나 정확하게 맞췄는지 등을 컴퓨터로 분석해 실시간으로 평가 결과를 알려주는 ‘발칸 추적 훈련 분석기’를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2016.06.16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할 예정이다. 한국 측
책임
자인 이형목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장(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은 “그동안 국내 연구진은 블랙홀 충돌에 의한 중력파가 예상보다 훨씬 자주 일어날 수 있다고 예측해 왔다”며 “이번 중력파 관측으로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