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점점 많아질 거라는 분석에서다. 이미 로봇의 팔, 영상 인식 시스템 등 대부분의 기술을
개발
했다.기자가 이 로봇을 처음 봤을 때는 ‘꼭 뱀 같다’는 생각을 했다. 360도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구부러졌고, 굽이굽이 복잡한 장애물이 있어도 뱀처럼 휘감아 들어가며 목적지(환부)까지 도달했다. ... ...
기름 먹는 신소재, 원유 유출 해결책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미량의 붕소를 넣어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나 많은 기름을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
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가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13일자에 발표됐다.CNT를 이용해 3차원 구조 물질을 실험하던 연구팀은 CNT에 미량의 붕소를 첨가하자 딱딱해야 하는 CNT가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밝혔다. 연구팀은 사생활 침해를 우려해 약 10cm 이내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특히 벽 속의 물체 감지나 위조지폐 감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의료, 방송·통신 분야 등 널리 쓰이는 것과 달리 테라헤르츠파는 최근 주목받기 시작했다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거리 300km 이상의 탄도 미사일
개발
, 보유가 불가능하다. 장거리 순항 미사일
개발
과 배치에 노력하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순항미사일의 속도가 느려 북한의 방공망에 요격되기 쉽고 탄두 중량이 가벼워 치명타를 가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래서 보유 가능한 탄도 미사일의 사거리 제한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미징 연구가 가능하다”며 “연구장비
개발
부서가 협조 속에 연구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
하고, 장비의 특성을 잘 아는 전문가들이 새로운 연구 기법을 제안하는 등 협력 시스템이 잘 갖춰져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올라탄 뒤 센서를 통해 넘어갈지 말지를 판단한다”며 “복잡한 알고리즘, 소프트웨어의
개발
이 뒷받침 됐기에 가능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아이클레보 아르테는 20mm 높이의 문턱을 넘을 수 있어 로봇청소기 분야의 ‘이신바예바’로 불린다.로봇청소기 성능이 향상되면서 판매량도 자연스럽게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줄여야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나 친환경 에너지
개발
에 힘을 쏟는 것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 대목에서 ‘실생활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사를 작성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단계 더 나가 특정 방법이 작동하는 원리와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떤 종류의 미생물이 얼마나 있는지 조사했다. 최신 게놈서열분석기와 생명정보기술이
개발
됐기에 가능한 방법으로 불과 수년 전만해도 엄두를 낼 수 없었던 일이다.장내미생물의 게놈 파편만으로 정확히 어떤 종인가까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속(genus)의 수준에서 장내미생물의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독성분인 청산으로 바뀌지 않기 때문이죠.”김 교수는 이런 점에 착안해 발효 한약을
개발
했다. 즉 약효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인삼 같은 약재를 발효 미생물에 미리 처리해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는 아이디어를 실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약에 들어있는 유효한 천연물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구팀은 12V 배터리를 이용해 저온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스마 손전등’을
개발
했다. 플라스마 손전등의 살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