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두 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소화가 잘 돼요. 우주인에게 딱 맞는 오곡밥!지금까지
개발
한 우주 식량은 400가지가 넘어요. 같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있는 우주인들이라도 출신 국가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 입맛에 맞는 우주 식량이 필요하죠.활동 공간이 적은 우주에서는 소화가 잘 되고, 칼슘과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설계되지 않으면 운전하는 방향과 다르게 차가 움직일 수 있어 아주 위험하다. 타이어를
개발
하는 연구팀은 주로 수학모델을 이용해 홈을 파기 적합한 위치와 홈의 두께를 결정한다. 안쪽 홈이 가장 넓게 설계 된 것은 그 부분이 배수가 더 잘 돼야 하기 때문이다.➋ 타이어 중간 중간에 작은 홈을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문이다(초소수성). 지난해 7월 중국 하얼빈공대 연구팀은 1.5kg짜리 소금쟁이 로봇을
개발
했다. 소금쟁이의 발 끝을 본떠 물을 밀어내도록 설계한 것이다.[물에 빠지지 않고 수면으로 빠르게 뛰어가는 바실리스크 도마뱀. 자기 몸무게의 3배나 되는 힘으로 물을 내리쳐 공기쿠션을 만들어 뛰어간다.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멀리 있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데 도움을 주는 원격의료 로봇 ‘로보메디’를
개발
하고 있다. 담당 의사가 해외 출장을 갔거나 자리를 비웠을 때 환자에 문제가 생기면 로봇을 병실에 있는 환자에게 보내 로봇을 매개로 원격으로 대화하거나 상태를 살필 수 있다. 도서 지역이나 산간에서도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동그란 얼굴, 통통한 배, 짧은 다리... 인기 캐릭터는 하나 같이 아기처럼 생겼다. 이들의 성공 비결은 이런 형태에 있는 걸까. 한 번 알아보자.선물 ... 교수는 “시대의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캐릭터의 성공 비결”이라며 “캐릭터를
개발
할 때 철저한 시장조사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담당하기도 하고 주택공사나 한국전력공사 같은 공기업에서 일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개발
업체나 연구직에서도 종사하고 있다. 국가공무원으로 국토해양부에서 일하기도 한다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군의 꿈은 ‘무기(weapon)공학자’다. 정확히 말하면 ‘항공·우주 분야 무기’를
개발
하고 싶단다. 흔히 남자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무기를 좋아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일까 생각하기 쉽지만 절대 아니다. 대환 군은 초등학교 6학년 2학기부터 1년 동안 인도로 유학을 다녀왔다. 국제 학교를 다닌 1년은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작업은 최근에서야 시도되고 있다.이 교수는 시네마의 의미에 대해 “위성 탑재체
개발
은 국가 간 기술 장벽이 높아 교류 자체가 힘들다”면서 “WCU사업단은 순수 과학 연구가 목적인만큼 UC버클리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우주 기술을 보유한 곳과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시네마는 ... ...
칩 안의 약국, 몸 속에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회사인 마이크로칩스의 로버트 파라 박사팀의 도움을 받아 무선으로 작동하는 생체칩을
개발
했다. 손톱만 한 생체칩에는 미세한 구멍들이 20개 뚫려 있는데, 평소에는 백금과 티타늄으로 만든 얇은 막이 가리고 있다. 원격으로 칩에 전기신호를 보내면 0.025초 안에 막이 녹으면서 약물이 빠져나온다.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