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내놓은 로봇 경진대회 계획표를 처음 확인했을 땐 ‘황당하다’는 생각부터 들었다. 10년 이상 로봇 취재를 하고 있는 기자가 보기엔 실현이 불가능해 보였기 때문이다. DARPA의 로봇대회는 제2의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대비한 것이었다. 당시 원전 내부의 밸브 하나를 잠그기 위해 로봇을 투입하려 ... ...
-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비법?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무리하게 추진했다고 지적하고 나섰고,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크다. 그런데 이상하다. 공사가 한창이던 때에도 비판은 거셌는데 사업은 계속됐다. “이미 몇 조원을 쏟아 부었기 때문에 멈추면 손해다”라는, 이른바 ‘매몰비용’ 논리 때문이다.영화를 생각해보자. 재미있을 것 같은 영화가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나라입니다. 자랑스런 민족의 자손임을 확인하고 싶은 것이겠지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상합니다. 자랑스러운 조상은 무엇이고 그렇지 않은 조상은 무엇일까요. 학교에서는 한민족의 조상이 동북아시아인 시베리아에서 왔다고 배웁니다. 그런데 만약, 실은 동남아시아에서 왔다고 하면 어떤 ... ...
- 중력으로 욕심을 비워내는 잔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싶어요. 계영배요? 저 그거 알아요. 잔을 적당히 70%정도만 채우면 술은 그대로 있지만, 그 이상 가득 채우면 술이 잔 밑에 있는 구멍으로 모두 흘러 나와 버리는 잔이잖아요.맞아요. 넘치면 완전히 비워버리는 잔이라니 뭔가 생각할 거리도 던져주는 잔이죠. 계영배의 원리는 말이죠….쌤! 쌤! 제가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n=1.87일 때 더 나은 예측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회귀분석★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추측통계의 한 분야.기호와 숫자의 스포츠, 야구장 전광판 읽기야구는 수학으로 즐기는 스포츠다. 야구를 즐기기 위해 꼭 세이버매트리션들처럼 야구 기록을 수학적으로 ...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람들을 긴장시키기도 하지. 왜 긴장을 하는지는 모르겠어. 그 사람만 나타나면 이상하게 분위기가 딱딱하게 굳고 사람들이 모두 긴장을 하거든. 테스티는 사람들을 꼼짝 못하게 만드는 힘이 있어. 나도 그 사람 앞에만 가면 쓰려고 했던 글자도 실수로 잘못 쓰곤 하지.”펜슬맨의 설명에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전통 문화 속 패턴을 연구해서 브릿지 학회에서 소개하면 참 좋을 것 같다.수학은 더 이상 딱딱한 학문이 아니다!유수민(서울 대원국제중 3)가장 좋아하는 과목인 수학과 다른 학문과의 연계성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던 나에게 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신 두 교수님을 취재한 것은 정말 좋은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이 도시 저 도시 그 도시,숲을 보면 알 수 있다? 도시숲은 두 개 이상의 도시가 한 도시로 연결되는 현상인 ‘도시연담화’를 방지한다. 도시연담화가 발생할 경우, 도시의 구성이 뒤섞이고 경제적인 차별까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도시숲이나 녹지는 두 도시 사이의 경계를 ...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단서를 찾기 위해 앰비그램에 대해 알아봐야겠어.‘앰비그램’이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어가 어떤 관점에 따라 본래와 똑같이 또는 완전히 다르게 읽혀지는 것을 뜻한다. ‘양방향’을 뜻하는 ‘Ambi-’와 ‘그림’을 뜻하는 ‘-gram’이 합쳐진 단어다. 쉽게 말해 앰비그램은 양방향으로 읽을 수 ...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일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경제 지표로 활용되지 않는 점이 조금 이상하다고요? 사실 국민 총생산(GNP)이라는 것도 있어요. 같은 국적을 가진 국민들이 생산한 것을 기준으로 시장의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죠.실제로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국민 총생산을 많이 사용 했어요.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