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백두산은 해발고도 2750m로 한반도에서 가장 높다. 백두산 윗부분은 구름이 쌓여있고 칼데라 호 ...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Part 2. HOT VOLCANOES!Part 3. 지구를 뒤흔든 화산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 ...
- 15억 살 된 물, 생명의 비밀 말해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2L 꼴로 쏟아져 나온 물을 분석해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 물은 최소 15억 년 이상, 물이 갇혀있던 주변의 결정질 암석은 27억 년 된 것으로 밝혀졌다.물에는 생명에 필요한 수소, 메탄, 헬륨, 네온, 아르곤, 제논과 같은 기체의 동위원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었다. 연구팀은 이 원소가 물이 ... ...
- 10시 이전, 2시 이후 자외선 샤워 즐기세요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하나다. UVB를 쬐는 양이 매우 부족하다는 얘기다.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세 이상 국민의 혈중 비타민D 농도는 모든 연령대에서 최저 기준인 30ng/mL를 넘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적정 농도는 30~100ng/mL다. 세계보건기구는 20ng/mL이하를 ‘부족’, 10ng/mL 이하를 ‘결핍’으로 정의한다. 이 ...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생기고 음식도 단단해지지요. 이 글루텐이 들어 있는 정도에 따라 밀가루를 강력분(13% 이상), 중력분(10~13%), 박력분(10% 정도)으로 나눈답니다.밀가루마다 글루텐 양이 정말 다른지 실험으로 알아보았어요. 밀가루 세 종류를 각각 100g씩 거즈에 싸서 흐르는 물에 씻었어요. 손으로 조물조물 주무르니 ...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막상 과학기사를 쓰려니 뭘 쓸지 도통 떠오르지 않는다는 학생이 많습니다. 물론 전문기자가 아니니 한계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눈을 돌려 보면 주 ... 위험에 대해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빠른 대책과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더 이상 이러한 사고들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그런데 여기에 재미있는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호모 에렉투스는 무척 오래(백 수십만 년 이상. 마지막으로 사라진 시점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어진 인류입니다. 그 긴 시간 동안 몸이나 두뇌에 변화가 있었을까요, 없었을까요. 고인류학계에서도 논란이 많아서, 변화가 있었다는 주장과 없었다는 ...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중간계급은 정삼각형, 전문직 종사자는 정사각형이나 정오각형, 귀족은 정육각형 이상의 정다각형으로, 신분이 높을수록 변의 수가 많다. 특히 성직자는 원으로 표현된다. 이는 소설이 나올 당시 지나친 특권을 누리고 있었던 영국 성직자를 비판한 것이다.하층 계급인 이등변삼각형은 신분이 ... ...
-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22개 시, 군의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한우와 돼지를 키우는 농가의 50% 이상이 동물복지형 축산을 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왔어요. 문제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에요. 동물복지형 축산을 하려면 시설이나 사료에 들어가는 돈이 만만치 않거든요.과동이꼭 그렇진 않아요. ...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빛 전문 연구소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같은 기기를 두 시간 이상 사용하면 멜라토닌의 분비가 22%까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머리 맡에 전자기기를 두고 자면 전자파의 영향으로 푹 잘 수 없다.수면일지평소 잠자는 습관을 ‘수면일지’에 담아 보자. 수면일지에는 잠드는 시각과 ...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하게! 서울대생 최정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지능지수는 아주 작은 요소일 뿐이라고 말했다.“어렸을 때 받은 지능지수 검사에서 156 이상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정확한 수치가 얼마인지는 저도 잘 몰라요. 다만 분명한 것은 지능지수가 높아서 수학을 잘했던 것은 아니라는 거예요. 지금 돌이켜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 수학 공부를 가장 ... ...
이전477478479480481482483484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