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안에 고릴라 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고릴라의 유전자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불과 1.75% 밖에 다르지 않다는 분석 결과가 처음 공개됐다.애일윈 스컬리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어연구소 박사팀은 콩고 등 아프리카 서부 열대우림에 사는 서부저지대고릴라의 전체 유전체(게놈)를 분석하고 침팬지와 인간, 오랑우탄의 유전체와 비교한 ... ...
- 뇌조절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전류를 흘려 뇌를 자극하는 방법은 200여 년 전에 유럽의 의학자인 알디니, 록웰 등이 처음 시도했다. 그러나 사람에게 안전한 전류량과 전류를 흘리는 시간을 알아내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0년 전 부터다. 뇌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는 ‘경두개직류자극기(tDCS)’라는 기계를 이용하면 뇌의 ...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자석에 의한 자기장, 자석과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힘 서로 다른 두 자석을 가까이 하면 어떻게 될까. 만약 두 자석의 마주보는 극이 같은 극이라면 서로 밀어낼 것이고, 다른 ... 회전운동을 만들 수 있는 첫 번째 기구였으며, 1821년에 패러데이가 영국왕립학회에서 처음 만들어 보였다 ...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이 퍼즐은 1892년 영국의 라우즈 볼(W. W. Rouse. Ball)이 펴낸 에서 처음 소개됐는데, 이후 미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Four Fours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Four Fours의 규칙➊ 숫자 4를 반드시 4번 사용해야 한다.(44처럼 4를 연이어 사용할 수도 있다.)➋ 4 외에 다른 숫자는 사용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긴 역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독이 앞서 나온 비소(砒素, arsenic, 원소기호 As)다. 처음 비소를 분리한 것은 13세기 중엽 독일의 신학자이자 자연철학자였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1193~1280)였다. 하지만 비소의 독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상태였다. 고대 중국과 인도, 그리스, 이집트인들은 화합물 ...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SOx)과 질소산화물(NOx)은 각각 96%와 97% 줄일 수 있다.이튿날인 2월 17일 새벽, 레전드호는 처음 출발했던 싱가포르항으로 돌아왔다. 동이 트는 고요한 도심을 거대한 배로 가로지르는 느낌이 기묘했다. 선측추진기를 가동해 천천히 부두에 몸을 가져다 대는 것으로 여행은 끝났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별도 태어나지 않은 초기 우주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플랑크는 하늘 전체를 고주파(100~850GHz)와 저주파(30~70GHz)로 나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먼저 고주파 영역의 관측을 마쳤다.마지막으로 다른 이유 ...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처음 지을 때 따다 붙였다고 하는 바로 그 이구아나다(공룡의 이름은 이구아노돈). 처음에는 부두 한켠에서 일광욕을 즐기는 이구아나가 너무 신기해 보일 때마다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그러나 어디나 있는 통에 나중에는 마치 도심의 비둘기처럼 익숙해졌다.바다 이구아나는 험상궂은 외모와 달리 ... ...
- 해상 풍력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단지가 태어난 순간이었다.20년이 흘렀다. 이제는 해상풍력이 ‘대세(大勢)’라고 한다. 처음 세워진 해상풍력 발전기 1대가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전기는 최대 450KW(킬로와트, 1KW는 1000W). 지금은 하루에 3MW(메가와트, 1MW는 100만W)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있다. 010년 기준 ...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간 물을 주지 않긴 했지만 효모 이상의 수준에서 DNA 수준의 기작이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의 마이클 프롬 박사는 “이 연구를 가뭄에 잘 견디는 작물의 교배나 유전자 조작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