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의미다. 베가 교수는 “바다 생물의 다양성 문제를 알기 위해 대규모 조사를 한 것은
처음
”이라며 “전체 종 조사를 하면 수수께끼를 확실히 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2월 8일자에 실렸다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원전의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지만 모든 차세대 원전이 고속로는 아니다. 2000년대 초반
처음
으로 4세대 원전 연구를 위해 국제 공조(GIF)를 시작했을 때 대표 모형을 여섯 가지 선정했다. 이 가운데 고속로는 세 가지. 나머지 셋은 고속로의 중성자를 약화시킨 ‘열중성자’를 쓴다. 열중성자를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기 같은 모습으로 진화했다. 1985년 미국의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미키마우스가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 눈은 2배 가까이, 머리도 몸통의 절반만큼 커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코의 길이는 오히려 25% 정도 짧아졌다. 굴드 박사는 논문에서 미키마우스의 생김새가 이렇게 변한 원인을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과학동아의 과학기사나 인터넷에 나와 있는 과학자료를 읽고 요약하는 활동이었다.
처음
에는 권유로 시작했지만 곧 재미를 붙였다. 덕분에 최신 과학뉴스와 과학지식도 익히고 글쓰기 능력도 길렀다.자기주도적 학습토요일마다 친구들과 모여 과학 주제를 정하고 조사해서 서로 발표하는 활동을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웨이퍼 하나에 2만 개 정도의 뉴런이 들어 있는 셈이다. 브레인스케일스는 지난 1월
처음
으로 완성된 웨이퍼에서 신경 신호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뇌처럼 작동, 혹은 생각(?)하는 인공 뇌는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쓸 수 있다. 현재 쓰는 컴퓨터는 단순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네마가 견딜 수 있게 환경 테스트를 하고 있다.시네마가 올라가면 큐브샛으로는
처음
으로 자세제어를 시도한 위성이라는 기록을 세운다. 시네마는 목표 궤도에 진입한 뒤 몸체에 달린 작은 휠(바퀴)을 두 달 동안 천천히 움직여 자세를 바꾸도록 설계됐다. 몸집이 작고 탑재체도 단순한 큐브샛은 ... ...
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환자는
처음
에 적잖이 놀라 어찌할 바를 몰라 했다. 예상치 못한 행동이었던 것이다.
처음
에는 놀라 짜증을 내더니 계속해서 박사가 시끄러운 방귀소리를 내자 한참 쳐다보더니 크게 웃었다. 그 뒤 환자는 듣기 싫은 소리를 막기 위해 방귀로 자신을 에워싸는 대신 의사에게 자신의 고통을 고스란히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뇌에서 차이점을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자폐증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상대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신경발달 장애다. 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큰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자폐증을 진단받은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혜성이 태양 표면을 가로지르고 있는 순간을 관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이었다. 관측 결과는 ‘사이언스’ 1월 20일자에 실렸다.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우주에 떠다니고 있는 먼지와 가스구름에서 만들어졌다. 약 46억 년 전 이런 물질이 수축해 서로 합쳐진 뒤 점점 자라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다 있습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친구처럼요. 네? 안 보인다고요? 그럴 겁니다. 저도
처음
에는 있는 줄 몰랐으니까요. 회색나무개구리(gray tree frog)인데 나무 껍질 위에 있습니다. 숨은그림찾기놀이를 하는 것 같네요.위장술에 뛰어난 개구리들은 보통 야행성입니다. 낮에 잘 때 천적이 알아보지 못하게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