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3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잠잠해지나?…중국과 연계한 AI 예방 대책 마련 주장도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종류의 바이러스가 발생했다는 내용입니다. 김 의원은 국립생태원
연구진
들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제출된 AI 발생이력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들었습니다. 환경부 AI 대응 상황반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03년 12월 한국에서 H5N1형 조류독감이 유행하기 전, 중국에서 같은 해 ... ...
그래핀으로 진공압력 측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10~30%로 크며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복잡하고 덩치가 큰 시스템을 사용했다.
연구진
이 개발한 장비는 오차가 약 3%며 두께가 얇은 그래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소형 센서로 제작할 수 있다. 또 기존에 측정이 어려웠던 고진공 상태(10⁻⁷mbar)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안 교수는 ... ...
축구장 크기 평면에서 0.2㎜의 요철도 잡는 측정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기술은 기판에 힘을 가하며 부분적으로 측정하는 접촉식 방식이라 정확도가 낮았다.
연구진
은 레이저를 사용해 기판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2차원적으로 형상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최대 직경 300㎜의 기판에서 약 0.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두께 변화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변이를 일으켜 색이 선명하고 다양한 형광단백질들을 만들었다. 2008년 하버드대
연구진
들은 생쥐의 뉴런에서 녹색, 빨간색, 청색 형광단백질 유전자가 임의로 발현하게 만든 브레인보우(brainbow) 기술로 개별 뉴런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했다. - 네이처 제공 1960년대 미국 우즈홀해양생물연구소의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수 밀리미터(㎜) 크기의 대면적으로 제작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
은 관찰을 통해 개발된 세포막이 불순물이 끼지 않은 순수한 상태라는 점까지 확인했다. 최명철 교수는 “인공세포막을 이용하면 세포막이 가진 수많은 요소 중 원하는 요소만을 배치하며 그 기능을 ... ...
인체에 치명적인 ‘염증 반응’ 억제할 방법 새롭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치유가 가능하지만, 과할 경우 더 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이 이 염증 반응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 전태훈 고려대 생명과학대학 교수팀은 자가포식 작용 과정에서 염증을 완화하는 기전을 찾아내 자가포식 분야 저명 학술지 ‘오토파지 ... ...
키 4m, 무게 1.6t… 탑승형 ‘거대로봇’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보스턴다이내믹스와 작업한 바 있는 로봇 전문 디자이너다. 보행 시연이 끝나고
연구진
의 도움을 받아 메소드-2에 직접 탑승해 봤다. 이동식 계단을 놓고 걸어 올라가 로봇의 가슴 한복판에 마련된 자리에 앉자 흡사 전투기 조종석에 올라탄 느낌이 들었다. 두 팔로 하나씩 조종간을 쥐고 앉아 한쪽 ...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박쥐 언어 번역기’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또 전체 음성의 61%(재생시간 기준)에 대해서는 어떤 내용인지 파악이 가능했다.
연구진
은 이 AI를 다른 동물의 언어를 분석하는 데도 활용할 계획이다. 요벨 교수는 “동물들의 의사소통을 연구하면 인간의 언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며 “동물들의 사회성을 ... ...
몸 속 태양광발전소 작동 원리,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밝은 빛을 내지만 파장이 짧아 표본을 그냥 통과하기 때문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구진
은 수 나노 초(ns·10억 분의 1초)에서 밀리 초(ms·1000분의 1초) 사이에 촬영한 13장의 사진으로 박테리오로돕신의 작동 기작을 규명했다. 빛을 받은 직후 박테리오로돕신은 내부에 아미노산을 형성하고, 이 ... ...
‘지하철 타는 비둘기?’…동물은 어떻게 학습을 할까
2016.12.24
비행하는 것 대신 지하철을 타는 도시의 비둘기 - Johan Lind, Stockholm University 제공
연구진
은 연관 학습이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에게도 최적화된 행동을 이끌어내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연관 학습이라는 것은 그 어떠한 의견보다 더 강력한 최적화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