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3건 검색되었습니다.
민사고 1년 양석인 군, 제7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대상자는 부상으로 북극 탐험의 기회가 주어진다. - GIB 제공 한국극지
연구진
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는 ‘제7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의 수상자가 발표됐다. 민사고 1년 양석인 군, 제7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북극 연구 체험 기회가 ... ...
크리스마스에 한번 쯤 하는 잉여로운 고민들!
2016.12.23
사고를 일으키거나 엉뚱한 선물을 배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스웨덴 괴텐버그대
연구진
은 산타 할아버지에게 당뇨병과 고혈압 치료를 권했다. 반면 지붕을 오르내리는 유산소 운동은 적잖은 도움이 된다. 길고 긴 선물 목록을 확인하느라 치매가 찾아올 틈도 없을 듯 하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 ...
겨우 되살린 명태 보존하는 데 수학이?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국산 명태를 보존하는 일에도 수학이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 올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진
은 인공수정 기술로 거의 멸종 상태인 한국산 명태 복원에 성공했다. 하지만 자연 상태에서 명태가 바다에 완전히 자리 잡기 위해선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다.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개체수를 계산할 수 ... ...
암 환자 ‘방사선 치료’ 부작용 줄이는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전이되는 등 방사선 치료 특유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원인이 된다. 이에 착안한
연구진
은 실험용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 먼저 두 miRNA 인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처리해 인터류킨-4의 발현을 억제한 유방암 세포를 만든 뒤, 이를 실험용 쥐에게 주입했다. 이후 방사선 치료를 ... ...
뇌피셜을 오피셜로 믿는 당신이 읽어야 하는 연구
2016.12.23
있다고 합니다. 바로 ‘거짓 기억(false memory)’과 관련된 것인데요. 영국 워릭대학교의
연구진
이 발표한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GIB 제공 거짓 기억과 관련해 이번 연구를 이끈 심리학자 킴벌리 웨이드 박사는 과거에 일어났을 법한 어떤 가상의 일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반복적으로 그 일을 ...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자기조립이 가능한 인공단백질을 설계해 이를 극복했다. 일본
연구진
이 유도만등줄기세포(iPSC)를 이용해 만든 인공 난자. - 사이언스 제공 ■ 7위 |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난자로 새끼 쥐 탄생하야시 가쓰히코 일본 규슈대 교수팀은 쥐의 꼬리세포를 역분화시킨 ... ...
한국형발사체 시험 발사 2018년 10월로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평가단에 요청했다. 이후 항우연
연구진
은 연소기 설계 변경과 지속적인 실험, 국내외
연구진
과의 공동 작업을 통해 문제 해결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7월과 11월 각각 75t급 액체엔진 연소 시험에서 145초 연소 시간 달성에 성공했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연소가 ... ...
노트북에서 나오는 열로 다시 노트북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실리콘 소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지만, 열전도도는 5분의 1 이하로 낮아진 덕이다.
연구진
은 소자가 구부려져도 열전소자의 성능 평가 지표인 ‘제백 계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 역시 확인했다. 3000번 이상 소자를 구부리며 출력 전압 변화를 관찰한 결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 ... ...
의료용 나노물질 안전하게 전달… 무독성 인공세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암이 걸려도 나노물질로 손쉽게 치료하는 세상이 한발 더 다가온 셈입니다. 서강대
연구진
이 개발한 나노인공세포의 물리적 특성 및 생체독성 분석을 나타낸 모습 - 서강대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특징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DNA 리서치’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진
은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독리에서 100년 이상 자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무궁화의 유전체 전체를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기법(NGS)’으로 해독, 총 8만 7603개의 유전자를 분리, 분석했다. ▲카카오,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