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본 물건을 말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08
때, 더 나아가 사람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비서로봇에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
은 이번에 개발된 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추론 역시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장 교수는 “지금까지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시각 정보와 언어 기술을 제각각 연구해 왔다. ... ...
신입사원의 뇌는 ‘베이즈 추론’으로 바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8
바둑프로그램 알파고 개발사인 구글딥마인드는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
과 공동으로 인간의 뇌는 낯선 조직에 들어갈 경우 ‘베이즈 추론’이란 방식을 활용해 구성원들의 지위를 파악한다고 학술지 ‘뉴런’ 7일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알파고의 개발자 데미스 하바시드 ... ...
아이 낳기 힘든 여성 비율 늘어난 이유는 ‘제왕절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경우는 60년대 전체의 3%에서 현재는 최대 3.6%로 20%가량 늘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
은 태아의 머리 둘레, 산모의 자궁 내 개구부, 골반 크기, 제왕절개 분만 여부와 생존율 등의 상관관계를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어 원인을 찾아냈다. 시뮬레이션 상에서 주기적으로 ... ...
지긋지긋한 질환 ‘류머티즘’ 원인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활막세포에 MIF가 결합할 경우 CD44가 공격적인 타입으로 변하는 모습을 발견했다.
연구진
은 류머티즘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치료법도 함께 제시했다. MIF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MIF098’과 ‘MIF020’라는 이름의 화합물을 처리하자 활막세포의 공격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두 화합물을 류마티스 ... ...
식물이 숨쉬는 과학적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잎엔 세포괴사 증상이 나타난다.(오른쪽) - 곽준명 DGIST 뉴바이올로지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식물의 호흡 기관인 ‘기공’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향후 식물의 성장과 발달과정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곽준명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IBS 식물 노화‧수명 ... ...
머리카락 10만분의 1 굵기 ‘나노선’도 한 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김영헌 책임연구원이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선을 관찰하고 있다. - 표준연 제공 김영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첨단측정장비센터 책임연구원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선(nano wire)’의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고효율 반도체 등 차세대 전자기기 연 ... ...
위조지폐·위조여권… 적외선만 쪼이면 한 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진위를 확인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제작에도 높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는 나노형광체와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새로운 위조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은 나노와이어 표면의 전자가 진동할 때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 ...
골치아픈 당뇨환자 상처, 붙이기만 하면 4배 빨리 낫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고혈당으로 인해 상처 회복이 더딘 당뇨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
은 당뇨병에 걸린 실험용 쥐의 등에 상처를 내고 2주간 개발한 피복재를 붙여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피복재를 붙이지 않은 쥐에 비해 4배 더 빠른 치료 효과를 보였다. 한 교수는 “기존 ... ...
"하루에 견과류 '한 줌', 심장병·암 발병률 '확' 낮춘다"
포커스뉴스
l
2016.12.06
추가적인 이점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텔레그래프는 "임페리얼 컬리지
연구진
은 올해 초엔 '아기들에게 땅콩을 먹이면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며 견과류 관련 추가 연구 사례도 전했다 ... ...
투명한데 휘어지기까지… 신기한 반도체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가시광선 투과도가 100%에 가까운 그물망 구조의 반도체 재료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진
은 반도체의 새로운 소재를 찾던 중 ‘디케토피롤로피롤 기반 반도체 중합체(DPP2T)’에 폴리스타이렌(PS)을 섞으면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매우 얇은 반도체 박막이 생긴다는 사실을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