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
2016.11.24
기반의 질병 예측과 진단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소장팀을 비롯한 UNIST
연구진
은 현재 울산시와 울산대, 울산대병원 등과 공동으로 ‘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2018년까지 울산 시민 1만 명의 한국인 염기서열을 분석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약과 진단기기 ... ...
기후변화 막을 새로운 신무기 ‘GMO 식물’이 뜬다
2016.11.24
해안가나 간척지, 사막에서도 잘 자라는 유전자조작 포플러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
은 식물이 환경스트레스에 취약하도록 만드는 GI(GIGANTEA) 유전자의 발현을 줄여 염분농도가 높거나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도록 만들었다. 이 밖에도 사막환경에서 잘 잘라는 감자 등 다양한 식물을 ... ...
장내미생물이 건강에 영향 미치는 까닭 밝혔다
2016.11.24
연구팀은 장내미생물이 있는 쥐와 없는 쥐의 차이를 비교했다. - UWadison 제공 장내미생물이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 연구팀은 장내미생물이 지방산을 만들어 실험용 쥐의 유전자 발현을 조종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장 ... ...
쏟아지는 최순실 뉴스 속에서 옥석 가리려면...
2016.11.23
트윗에는 해당 사진이나 기사로 이어지는 링크도 없었습니다. 스탠포드대학
연구진
이 같은 사안을 다룬 4개 트윗을 청소년들에 보여 준 결과, 주요 언론사나 개인 계정 간의 신뢰도 차이를 거의 구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Wall Street Journal 제공 ● 정보 홍수에서 살아남는 법 ... ...
차세대 TV ‘퀀텀닷’ 더 얇고 더 저렴해진다
2016.11.23
소자를 색상별로 고정하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아직 상용화에 이르진 못했다. KIST
연구진
은 전자소자 공정에 자주 사용되는 ‘노광공정(포토리소그래피)’을 적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기판 위에 노광공정을 통해 패턴을 그려둔 후, 용매에 녹아 있는 퀀텀닷 소자를 전하를 이용해 고정했다. ... ...
전기신호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붙였다. 두 전류는 뇌 속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상쇄돼 낮은 주파수로 바뀌었다.
연구진
은 이 원리를 이용해 전극의 위치와 출력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신경세포만 정확히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접한 조엘 보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TCS가 늘 정확하다고 ... ...
눈 온다고 뿌린 제설제, 개구리 성별 바꾼다
2016.11.23
나트륨 성분이 올챙이의 성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해 성별을 바꿨을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진
이번 실험 결과 가로수로 많이 사용되는 참나무 잎도 개구리의 성별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참나무 잎을 더 많이 띄워둔 수조에서 자란 개구리는 암컷으로 더 많이 분화됐다. 반대로 ... ...
젊은 피 수혈받는 뱀파이어 시술, 근육재생에 효과 있다
2016.11.23
젊은 쥐에게 나이든 쥐의 혈액을 수혈한 경우 노화 유전자가 빠르게 퍼져 영향을 미쳤다.
연구진
이 2005년 진행한 실험은 신체 일부를 봉합해 혈액과 조직 모두 교환한 상태에서 쥐가 성장했다. - UC버클리 제공 두 과학자는 2005년부터 혈액 수혈을 통한 회춘 연구를 진행해왔다. 처음엔 쥐 두 마리의 ... ...
농사 초보자도 농장 운영 가능해졌다
2016.11.22
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해 온실 재배용 스마트 팜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
은 전남 장성의 딸기농장에 시험장 설치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시험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작업효율을 높인 농장을 뜻한다. 1세대 스마트팜은 온실 내부의 ... ...
바닷물 분석해 희귀동물 ‘고래상어’ 개체수 알아냈다
2016.11.2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닷물에 잔존하는 해양 동물의 DNA를 분석하는 방법을 생각했다.
연구진
은 이렇게 바닷물에서 얻은 DNA를 ‘eDNA(environmental DNA)'라는 이름을 붙였다. 환경에서 얻은 DNA라는 뜻이다. 기존에도 비슷한 분석이 시도된 바 있지만 해양생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그쳤다. 톰슨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