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7건 검색되었습니다.
귀 없는 깡충거미가 소리를 듣는 방법은?
2016.11.08
결국 소리로 인한 공기의 진동이 거미로 하여금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한편
연구진
은 이 연구 결과에 힘입어 다른 종류의 거미들도 청각 기능이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그 대상이 되는 거미들은 바로 닷거미 및 늑대거미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 3대 학술지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로 경유 만든다
2016.11.08
델라포사이트는 값싼 구리와 철로 돼 있어 경제성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연구진
은 이 기술을 활용해 화력발전소와 대형 공장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경유 연료로 바꿔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단순히 땅에 묻는 게 아니라 상용화돼 있는 자원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현재와 같은 5개를 가진 형태로 진화하게 됐는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
은 유전자 이상으로 5개의 손, 발가락을 가진 동물이 진화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대부분 동물이 5개의 손, 발가락을 갖게 됐다고 분석했다. 연구과정에서 크미타 교수팀이 주목한 것은 ... ...
과학자 성공 가능성 예측하는 ‘역량 평가’ 지수 나왔다
2016.11.06
- 사이언스 제공 연구자가 이룩할 수 있는 과학적 성과를 예측할 수 있을까. 미국
연구진
이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과학자들의 기존 연구 업적들을 분석해 새로운 평가지수를 제시했다. 연구 성과를 미리 가늠해 볼 수 있어 연구개발 투자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 ...
[퀴즈] 겨울에 진짜로 겨울잠 자는 동물은?
2016.11.05
서식하는 여우원숭이와 비슷한 패턴의 동면 습관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대해
연구진
은 여우원숭이 두 종이 다른 이들과는 달리 동면 동안 수면 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왜 깨어나는지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들 동물들이 서식하는 환경의 온도차 때문이 아닐까 ... ...
北·中 해양쓰레기 한국 유입경로 밝혔다
2016.11.05
알아냈다. 중국과 북한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두만강을 거쳐 동해로 유입된 것이다.
연구진
은 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같은 기간 국산 해양관측 인공위성인 ‘천리안’으로 동해 인근 해양부유물의 농도를 분석했다. 천리안은 24시간 한반도 주변 해양을 감시할 수 있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 프로토콜’에 발표했다. 김진수 단장을 포함한 국내 공동
연구진
은 황반변성(안구질환)과 리소좀축적증(중추신경장애), 샤르코마리투스병(근육위축병) 같은 각종 난치성 유전병에 대한 유전자 교정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 ...
[전문의가 솔직히 말해주는 남자의 성] 몇살까지... 할 수 있을까요?
2016.11.03
건강하면 오래 사는게 당연하다’는 정도의 상식론이 아닙니다. GIB 제공 영국
연구진
이 10년 간에 걸친 추적 조사로 밝힌 사실입니다. 45-49세까지의 남성을 대상으로 주 2회 이상의 섹스를 하는 남성과 월 1회도 하지않는 남성 쪽의 사망률을 비교해본 결과 전자에 비해 후자의 사망률이 약 ... ...
동물 몸에 생기는 ‘줄무늬’의 비밀 풀렸다
2016.11.03
있었고, 아프리카줄무늬쥐는 줄무늬의 밝은 부분에서만 Alx3가 발현되고 있었다.
연구진
은 Alx3가 멜라닌을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Alx3는 멜라닌 세포를 분화시키는 DNA에 결합해 멜라닌 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했다. Alx3가 많이 발현된 부위는 멜라닌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이산화질소가 1ppm 농도로 나와도 검출할 수 있다. 기존 검출기보다 12배 향상된 성능이다.
연구진
은 “초소형 센서를 만들면 의료용 진단기기나 산업, 연구 현장에서 가스 누출을 확인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ACS 나노(ACS Nano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