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 몸에 생기는 ‘줄무늬’의 비밀 풀렸다
2016.11.03
있었고, 아프리카줄무늬쥐는 줄무늬의 밝은 부분에서만 Alx3가 발현되고 있었다.
연구진
은 Alx3가 멜라닌을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Alx3는 멜라닌 세포를 분화시키는 DNA에 결합해 멜라닌 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했다. Alx3가 많이 발현된 부위는 멜라닌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이산화질소가 1ppm 농도로 나와도 검출할 수 있다. 기존 검출기보다 12배 향상된 성능이다.
연구진
은 “초소형 센서를 만들면 의료용 진단기기나 산업, 연구 현장에서 가스 누출을 확인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ACS 나노(ACS Nano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머티리얼즈’ 31일자 온라인판을 통해 밝혔다.
연구진
은 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지뢰나 탄약 등에 포함된 ‘질화방향족’이라는 화학물질과 만나면 형광을 내는 나노입자를 이용했다. 이 나노입자가 들어간 시금치는 주변에 지뢰가 매설돼 있으면 잎에서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렇게 작동한다”
2016.11.02
뒤에도 수시로 구조를 바꿔가며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
은 이번 분석결과가 전 세계 과학계에서 진행 중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활용방법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구조와 작용과정을 처음 ... ...
특수안경 없이 스마트폰으로 3D 영상 본다
2016.11.02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 기기에도 안경 없이 3D 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2차원(2D) 화면을 3D로 변환해 언제든 3D 영상을 볼 수 있는 저비용, 초경량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대형 TV나 영화 ... ...
사람처럼 입체적으로 보는 카메라 나왔다
2016.11.02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홀로그램 카메라 - KAIST 제공 사람의 눈처럼 원근감과 입체감을 감지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1일 밝혔다. 카메라는 빛의 모든 대역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빛의 세기만 찍을 수 있고, 그 속에 담겨 있는 입체 정보는 이 ... ...
수술 없이 암 치료하는 ‘나노로봇’ 등장
2016.11.01
과거에도 있었지만 주로 피부처럼 몸 바깥으로 드러난 부위에만 적용할 수 있었다.
연구진
이 새로 개발한 방법은 나노로봇 기술은 이런 단점을 해결해 인체 내 부위 대부분에 발생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종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암으로 ... ...
뇌자극 ‘신경전극’ 개발… 뇌졸중 치료 가능성 열었다
2016.11.01
표면적이 적어 효율이 낮고, 강도도 떨어져 실제 치료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
은 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홈이 수없이 파인 가느다란 금 나노 구조체 위에, 10nm 이하의 두께의 얇은 이리듐 산화물을 코팅해 새로운 신경자극용 전극을 개발했다. 기존 ... ...
해저 6000m 걷는 탐사로봇, 최종실험 현장 가보니
2016.11.01
m의 해저에서 게나 가재처럼 기어 다닐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보행형 심해탐사로봇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심해 탐사용 로봇 ‘크랩스터6000’ 개발을 사실상 완료하고 최근 성능 시험을 동아일보에 단독으로 공개했다. 크랩스터6000은 스크루로 움직이는 다른 ... ...
한 번 공중에 뜨면 약 1년을 날아다니는 새가 있다
2016.11.01
아닐까 추정했습니다. 새벽이나 황혼녘, 하강하는 동안 잠깐 선잠을 청한다는 것이지요.
연구진
은 이와 관련한 연구는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aweł Kuźniar(W) 제공 한편 한번에 이렇게 오랜 시간 비행한다면 아무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고 해도 일반적인 조류들에 비하면 많은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