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난자 첫 성공… 불임-유전병치료 새 길 열려
2016.10.18
인공난자로 만들어진 실험용 쥐 - 하야시 카츠히코 일본 큐슈대 교수 제공 일본
연구진
이 동물 몸에 있는 체세포(일반세포)로 난자(생식세포)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올해 2월 중국 난징의과대 연구팀이 쥐의 정자를 인공적으로 만든 적은 있지만 난자를 만들어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전병 ... ...
사람처럼 두 손으로 일하는 산업용 로봇 등장
2016.10.18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일할 수 있는 산업용 소형 로봇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경진호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국내 로봇 기업 로보스타와 공동으로 산업용 소형 양팔로봇인 ‘아미로’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아미로는 ... ...
검지가 약지보다 짧으면 운동신경이 좋다, 진짜?
2016.10.18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관성과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연구진
의 입장입니다. 필자는 재미로 했던 손가락 길이로 알아보는 성격 테스트가 과학적으로도 근거 있다는 사실이 꽤나 흥미로웠는데요. 다음에는 또 어떤 ‘썰’이 연구를 통해 실제가 될지 자못 궁금해집니다. ... ...
적외선 → 가시광선 바꾸는 ‘나노필름’ 나왔다
2016.10.17
실린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의 표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진
은 금속 표면에서 자유전자가 집단으로 진동해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나노 구조체인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구조체’에 나노 형광체를 접목해 이 장치를 개발했다. 나노 형광체는 플라즈모닉이 빛을 더 잘 모을 수 ... ...
야생 꼬리감기원숭이의 기억력, 이 정도였어?
2016.10.15
꼬리감기원숭이들이 먹이를 먹기 위해 각 취식지를 방문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 후
연구진
은 통계 모델을 사용해 관찰 기록들을 분석했습니다. 위키미디어 커몬스 제공 그 결과, 꼬리감기원숭이들이 방문할 취식지의 선택에 있어 나름의 논리를 따르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바로 특정 ... ...
나무 종 수 10% 줄어들면 숲의 혜택도 ‘2~3%’ 준다
2016.10.14
량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숲의 생물다양성과 산림생산성의 관계를 밝혀 지도로 만들었다.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갈수록 생물다양성이 산림생산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지역이다. - 사이언스 제공 숲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종이나 건축자재가 되는 나무를 내어주고, 이산화탄소 ... ...
체스, 바둑 다음엔 노래?… ‘인공지능 가수’ 시대 곧 온다
2016.10.14
자유자재로 합성해가며 사람처럼 노래를 부르는 기술이다. 2015년 7월 독일 훔볼트대
연구진
이 만든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미온’은 베를린 창작예술가 집단과 공동으로 오페라 무대에 올랐다. 미온은 이 공연에서 사람처럼 노래를 불러 관중을 놀라게 했다. 미온의 노래 실력은 베를린 보이트 ... ...
2014년 한국 조류인플루엔자 세계 확산 주범은 ‘야생 철새’
2016.10.14
14일자에 발표했다. 이 연구엔 국내 송창선 건국대 수의과대 교수팀도 참여했다. 국제
연구진
은 2014년 당시 한국에서 시작된 AI가 그해 가을부터 이듬해 봄에 이르기까지 일본과 유럽, 북아메리카로 퍼져나간 경로를 조사했다. 그리고 16개국에서 각각 발견된, AI에 걸린 야생 새들에게서 추출한 ... ...
영화처럼 바이러스를 퍼뜨려 전 인류를 감염시킬 수 있을까
2016.10.14
자연 상태의 H5N1은 치사율이 100%에 가깝지만, 가금류만 감염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연구진
은 이 바이러스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사람도 감염되도록 만들었다. ● 미생물 경보장치 국내서도 운영 중 누군가 무서운 바이러스를 개발한다손 쳐도 영화에서처럼 전 인류를 감염시키긴 쉽지 않아 ... ...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10.13
Barmak Heshmat 제공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
이 책을 펼치지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 MIT 미디어랩 바르막 헤쉬멧 연구원팀은 적외선과 라디오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인 ‘테라헤르츠 라디오파’를 이용했다. 서로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