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분화가 서로 이뤄졌는지를 조사했다. 분석한 DNA만 해도 9만2801개에 달한다. 그 결과
연구진
은 인간과 가까운 자연의 서식지일수록 종의 분화가 줄어들어 생물학적 다양성이 적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열대 지역의 생태계가 유전적으로 더 다양하다는 것이다. 렌 길만 ... ...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오징어, 사실은 색맹?
2016.10.01
시각을 적응시키는 능력이 그들에게 있어 위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GIB 제공
연구진
은 여러 차례의 실험 및 관찰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징어가 시각을 통해 들어오는 빛으로 주변을 파악해 위장으로 이어지는 자기 보호를 한다는 것인데요. 즉 근해에서는 ... ...
인간에게 치명적인 고양이 할큄병?
2016.09.29
사람의 수는 매 10만 명의 외래환자 중 약 4.5명 정도로 낮은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구진
은 그 수에 비해 그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되는지 다음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고양이 ... ...
엄마 2명, 아빠 1명 ‘세부모 아기’ 첫 탄생
2016.09.28
엄마의 난자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세 부모 아이가 태어난 과정 - 동아일보 제공
연구진
은 모두 5개의 난자를 제공받아 친모의 난자핵으로 치환했고, 시험관 안에서 아빠의 정자와 수정했다. 그 중 하나의 수정란만 정상적으로 엄마의 자궁에 착상했으며 하산이 태어났다. 연구팀은 “하산의 ... ...
사막에서도 농사지을 수 있는 ‘슈퍼 고구마’ 나온다
2016.09.28
이 결과 기존 작물보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훨씬 잘 자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
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병충해나 고온 등의 재해를 이겨낼 수 있는 식물을 꾸준히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곽 센터장은 “고구마는 척박한 기후 조건에서도 탄수화물을 생산할 수 ... ...
값싼 ‘유기 태양전지’ 상용화 가능해졌다
2016.09.28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
은 이번에 사용한 첨가제는 다른 종류의 태양전지에 적용해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에너지 및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 ...
환경문제 주범 ‘녹조’로 전기 만든다
2016.09.27
모습 - 연세대학교 제공 환경문제의 주범인 ‘녹조’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류원형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식물이나 미세조류의 광합성 과정에서 생기는 전자를 추출할 수 있는 ‘나노전극’을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광합성 과정에서 전자를 ... ...
곧 임신할 우리 아이, IQ는 150에 맞춰주세요
2016.09.27
완전 배아 유전자 편집을 시작한 스웨덴 카롤린스카대 연구팀. - 카롤린스카대 제공 ‘맞춤형 아기’를 만들 수 있어 지금까지 금지돼 왔던 ‘완전 배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연구’가 이미 스웨덴에서 진행 중인 것이 확인됐다. 태아로 자라날 수 있는 완전한 인간 배아로 유전자 교정 실험을 ... ...
외로움을 느끼는 것도 유전이다
2016.09.27
대상으로 이루어진 반면, 이번 연구는 미국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
은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연구를 이끈 에이브러햄 팔머 교수는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 메커니즘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바로 유전자 ... ...
세살 적 ‘운동 유전자’ 여든까지 간다
2016.09.27
실험에 참가한 사람은 과거 운동을 진행했던 한 쪽 다리에 특정 유전자들이 남아 있었다.
연구진
은 이렇게 ‘운동형’으로 바뀐 다리는 휴식 기간 후에도 더 쉽게 운동에 적응한다는 사실 역시 확인했다. 린드홈 연구원은 “지금까지 운동에 따른 유전자 변화를 명확하게 규명한 연구는 거의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